문화시설, 자살률 감소에 기여 (연구)

문화와 휴식을 즐길 공간이 늘어나면 자살률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 면적과 문화기반시설이 증가해 휴식공간과 문화혜택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 해당 지역 내 평균 자살률이 크게 줄어든다는 보고다.

5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광운대 SSK 정신건강과 지역사회연구단 송나경 연구팀이 국가통계포털에서 제공하는 2009~2015년 지역별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225개 시·군·구의 환경적 요인과 자살률과의 관계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분석 결과, 1인당 공원면적이 10㎡ 증가하면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는 3명 감소했다. 2009~2015년 1인당 평균 공원면적은 약 3㎡였고, 시·군·구에 따라 0∼34.1㎡의 격차를 보였다.

문화기반시설 증가도 평균 자살률 감소와 연관을 보였다. 문화기반시설 수는 특정 지역 인구 10만 명당 이용 가능한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문화의 집 등의 수를 가리킨다.

문화기반시설이 10개 늘어나면 자살자는 평균 7명 감소했다. 문화기반시설의 수는 시·군·구에 따라 최소 0.67~69.7곳으로 큰 차이가 났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충분한 녹지 공간과 공원 면적이 주어지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신체활동과 사회적 접촉을 활발하게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정신적 스트레스, 우울증, 나아가 자살률까지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며 “자살예방정책에 있어 지역사회의 환경적 요소가 중요함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반면 고령인구 비율과 미세먼지 증가는 자살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인구 비율이 10% 증가하면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5~6명 증가했다. 또 미세먼지 농도가 보통 수준 이하인 시·군·구의 자살자는 미세먼지 농도가 괜찮은 지역에 비해 2명 더 많았다. 대기오염으로 실내공기의 질이 떨어지면 스트레스와 불안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는데 이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연구내용(지역사회 환경적 요인이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2009-2015년 자료를 중심으로)은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사진=S.Borisov/shutterstock]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