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막염인 줄…실명 가능한 ‘포도막염’

포도막염은 결막염과 증상이 비슷해 헷갈리기 쉽다. 결막염으로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넘기다 자칫 영구적인 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눈을 둘러싼 3개의 층 중 중간층을 형성하는 조직을 포도막이라고 부른다. 이 조직은 빛의 양을 조절하는 홍채와 수정체를 받쳐주는 모양체, 망막을 감싸는 맥락막으로 이뤄져있다. 이 조직에 염증이 생기면 이를 포도막염이라고 한다.

포도막염의 원인은 크게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나뉜다. 감염성은 바이러스나 세균 등에 의해 감염됐을 때 생기고, 비감염성은 특발성, 자가면역질환(류마티스성 관절염, 홍반성 루푸스 등) 또는 외상이나 수술 등에 의해 생긴다.

대표적인 증상은 시력저하, 날파리증, 통증, 충혈, 눈부심 등이다. 염증이 침범한 부위에 따라 증상 차이가 있는데, 전포도막염(안구 앞쪽 포도막염)은 충혈과 눈부심, 통증이 심하고, 후포도막염(안구 뒤쪽 포도막염)은 날파리증과 시력저하, 눈부심, 변시증(사물이 찌그러져 보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포도막염은 감염성 질환처럼 한두 가지 검사로 원인균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다른 눈 질환과 달리 첫 검사에서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포도막염을 진단하려면 안과에서 시력과 안압을 측정해 시력감소 정도를 검사하고, 세극등현미경 검사를 통해 염증세포 유무와 각막 및 홍채 이상 유무를 관찰한다. 또 산동제로 동공을 확대해 유리체와 망막을 검사해 염증이 눈의 앞, 뒤 또는 전체에 퍼져 있는지 확인한다.

포도막염이 진단되면 원인 및 발생 부위, 형태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와 검사가 필요하며, 때에 따라서는 전신질환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종 임상병리 검사와 방사선검사가 필요하다.

치료는 감염성 포도막인 경우 원인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 또는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한다. 비감염성 포도막은 염증 감소를 위해 스테로이드 성분의 점안약, 안구 주사 및 먹는 약 등을 투여한다. 류마티스 질환 등의 전신질환이 동반됐거나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 면역억제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포도막염은 백내장, 유리체 혼탁, 황반부종, 녹내장, 망막 박리 및 시신경 위축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심한 시력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가장 좋은 예방법은 눈을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지만 자가 면역 반응과 관련된 포도막염은 육체적인 피로나 심한 정신적 스트레스, 감기, 술, 담배 등이 재발을 유도하므로 무리한 활동을 피해야 한다.

치료가 끝난 이후에는 정기적인 안과 검사를 받는다. 일산백병원 안과 신주연 교수는 “포도막염은 20~40대의 젊은 연령대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완치가 쉽지 않고 만성, 재발 경과를 보이는 경우가 흔하다”며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 정기적인 안과 검사를 통해 손상과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Mrs_Bazilio/shutterstock]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