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테카바이오, 유전체 빅 데이터 구축 속도전

유전체 빅 데이터 전문 기업 신테카바이오가 최근 아산병원으로부터 DNA 추출 기술을 이전받았다. 따라서 유전체 분석 환경 제공은 물론 유전체 빅데이터 구축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신테카바이오는 DNA 추출 기술 관련 2개의 특허(파라핀 검체에서 핵산을 추출하는 방법과 혈액으로부터 순환 유리 핵산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전용 실시권을 획득했다고 최근 밝혔다.

정밀 의료와 4차 산업 혁명으로 조명 받고 있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유전체 연구는 가장 주목 받고 있는 분야로, 분석 기술의 발달과 비용 하락으로 활용 빈도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유전체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소량의 검체 및 혈액에서 DNA를 추출하는 기술, 유전체 분석 후 발생하는 대용량의 정보 해석과 분석 비용 등이 유전체 연구 및 유전체 정보의 임상적 활용에 큰 장애물로 여겨져 왔다.

신테카바이오는 이번 DNA 추출 관련 특허권에 대한 전용 실시권 획득을 통하여 유전체 분석의 시작점인 DNA 추출에서부터 마무리 단계인 생물 정보학적 해석 및 빅 데이터 분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연구 지원 능력을 갖추게 됐다.

최근 유전체 연구의 활성화, 의료 기술의 발전, 희귀 질환 진단 기술의 발전 및 암 환자 증가 등에 따라 조직 검사와 혈액 내 DNA 검사가 증가하는 추세다. 또 여기서 얻어지는 작은 크기의 조직에서 충분한 양의 DNA를 추출하는 것은 유전자 검사에 주요한 이슈였다.

그리고 조직 검사는 연구 참여자나, 환자 또는 의심 환자에게서 매번 실시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예방 기능이 적기 때문에 혈액 속의 DNA를 검사해서 생체 지표로 활용하는 기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예를 들어, 암 환자의 경우 암의 진행 단계에 따라 생존율에 큰 차이를 보이지만 조기 단계 일수록 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소량의 혈액 또는 조직에서 유전체 검사에 활용 가능한 최대한 많은 양의 DNA를 추출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아산병원 병리과 장세진 교수팀이 개발한 DNA 추출 기술은 기존의 DNA 추출 방법 대비 5배 정도의 DNA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 및 임상 활용도가 매우 높다.

올해부터 NGS를 이용한 암 및 유전 질환 검사에 대해 선별 급여가 실시됨에 따라 DNA 추출기술과 생물학 정보의 해석에 대한 요구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 동안 유전체 분석 전문 기업으로 성장해온 신테카바이오가 DNA 추출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임상의와 연구자에게 더 나은 유전체 분석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유전체 빅 데이터 구축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송영두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