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제초제 ‘글리포세이트’ 안전성 논란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농약 성분인 ‘글리포세이트’의 발암 가능성을 놓고 논란이 뜨겁다. 세계적 GMO(유전자재조합) 종자회사이면서 농약회사인 몬산토의 제초제 ‘라운드업’에 포함된 이 성분을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난해 발암 추정물질로 분류하면서 GMO 수입국인 우리나라 식탁의 위기감도 높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식량농업기구(FAO)와 WHO 합동위원회는 지난 16일 글리포세이트의 발암 가능성이 낮으며, 유전 독성을 유발할 가능성도 낮다는 새로운 안전 검토 결과를 내놨다. 이 물질이 세포의 유전물질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합동위원회는 글리포세이트의 일일 허용섭취량이 체중 1kg당 1mg까지라는 점도 재확인했다.

글리포세이트의 발암 가능성에 대한 평가는 계속 엇갈리고 있다. IARC가 의학 저널을 통해 2A 등급의 발암 물질로 분류하자 유럽식품안전청(EFSA)는 글리포세이트의 인체 발암 위험이 낮다는 상반된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IARC가 분류한 2A 등급 발암물질로는 살충제인 DDT와 야근, 적색육 등이 있다.

글리포세이트는 미국에서 GMO 작물이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GMO 작물은 기존 제초제에 내성을 갖도록 개발됐는데, 특정 제초제에 내성을 가진 이른바 ‘슈퍼 잡초’가 생기면서 글리포세이트 사용량도 늘어나기 시작했다. 지난 2월에는 독일 환경단체인 뮌헨환경연구소가 독일에서 생산되는 일부 맥주에서 글리포세이트 성분이 검출됐다고 발표해 국내에도 파장을 일으켰다.

GMO 작물의 안전성 이슈가 제기되면서 글리포세이트의 안전성 역시 도마에 오르고 있지만, 세계적으로 찬반 의견이 팽팽한 상황이다. 유럽연합(EU) 농약위원회는 이번 주에 글리포세이트의 재승인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회의를 열 것으로 알려졌다. GMO 수입국인 우리나라의 경우 농촌진흥청이 GMO 종자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어 안전성 검증을 통한 가이드라인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WHO는 IARC의 결론과 이번 합동위원회의 결론이 다르지만, ‘상호보완적’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IARC 평가는 위험성(Hazard), 합동위원회는 위해(risk)에 초점을 맞췄다는 것이다. WHO에 따르면 농약과 같은 유해 화학물질은 과학적 연구를 통해 발암물질, 신경독성, 기형유발 등으로 분류되는데, 위험성 확인 과정은 위해평가의 첫 번째 단계이다.

이러한 과정은 같은 화학물질이라도 노출되는 용량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고, 노출 경로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뤄진다. 식품 중 잔류 농약에 대한 위해평가를 거천 뒤 안전한 섭취 기준이 마련된다.

WHO는 합동위원회 발표 후 Q&A를 통해 “IARC의 위험성 확인은 유엔합동잔류농약전문가회의(JMPR)의 위해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두 과정은 상호보완될 수 있다”며 “IARC가 한 화학물질의 발암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새로운 근거를 확인하면 필요할 때 JMPR이 해당 물질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나 재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배민철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