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 사망 원인 불명 12.6%…절반이 돌연사


사인 모를 영아사망… ‘통계’ 때문에

태어난 지 돌도 지나지 않아 사망한 영아 10명 중 1명은 사인조차 알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모의 나이가 10대나 20대 초반으로 어리고, 중졸이하의 저학력일수록 이러한 비중이 컸다.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본부 최정수 연구위원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07~2011년까지 사망한 영아 7,798명 중 12.6%인 979명은 사인이 불명확했다. 이는 출생 전후기의 합병증 등 특정 병태와 선천적 기형 등에 이어 3번째로 많은 수치다. 불명확한 사인의 절반가량은 영아돌연사증후군이었다.

비단 저체중이나 조산과 같은 고위험 출산이 아니어도 영아사망의 원인이 불명확한 경우는 적지 않았다. 2.5kg 이상 정상 체중아에서도 불명확한 사인은 20.3%나 됐고, 37주 이상 만삭아인 경우에서도 20.2%를 차지했다. 출생체중과 임신주수를 모를 때 불명확한 사인은 각각 39%, 38%로 치솟았다.

취약집단은 분명했다. 산모가 저연령, 저학력일수록 영아의 사인이 불명확했다. 산모가 19세 이하일 때 이런 확률은 25.8%로 가장 높았다. 산모 나이를 모를 때에는 15.1%였다. 또한 산모의 학력이 중졸 이하일 경우 18.5%로 가장 높아 학력을 모를 때의 16.9%를 웃돌았다.

국내 영아사망 통계는 출생과 사망에 관한 인구동태신고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기초로 작성된다. 이 때문에 출생신고 기한인 생후 1개월 이내 사망한 신생아의 경우 신고가 누락될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의료기관이 아닌 곳에서 영아가 사망하면 사인을 밝힐 정보를 수집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영아사망은 저출산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체계적인 정보수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정수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를 통해 “의료기관으로부터 직접 출생과 사망신고를 받는 등 영아사망통계작성 체계를 일찍이 구축하고 있는 선진 사례들을 더 이상 간과하거나 제도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미룰 수 없는 시점에 이르렀음을 간접적으로 입증했다”고 했다.

지난 2011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영아사망률은 OECD 34개국 중 9위로, 평균을 밑도는 낮은 수준이다. 다만 일본 등 영아사망률이 최저수준에 있는 국가들과의 격차를 여전히 좁히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영아사망률과 영아급사증후군은 출생 10만명당 각각 305명, 20명으로 일본의 234명, 13명보다 높다.

    배민철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