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씬해지려다… 여성 폐경기 갈수록 빨라져

 

여름 몸짱으로 거듭나기 위해 운동과 다이어트를 병행하는 20~30대 여성들이 늘고 있다. 내 몸 상태에 알맞은 운동과 다이어트는 건강미를 더해줄 수 있지만, 극단적인 방법을 택한다면 역효과를 낼 수 있다. 마른 몸매에만 목을 매 무작정 굶거나 원푸드 다이어트와 같이 한 가지 음식만 고집하다가는 젊은 나이에 뼈가 약해져 부러지기 쉬운 골감소증을 자초할 위험이 높다.

최근 정부 자료에서도 이러한 위험이 감지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1998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인의 체중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체 비만율은 30~31%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저체중인 20~30대 여성은 같은 기간 12.4%에서 17.8%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저체중은 뼈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다. 외모에 너무 집착해 다이어트에 몰입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분석된다. 전문의들은 “적절한 식단과 짜임새 있는 운동관리가 아니라 최근 유행하는 극단적인 방식의 다이어트를 무작정 따라 하게 되면 영양상태의 불균형과 내분비계 이상을 초래해 골밀도가 감소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젊을 때부터 지속적으로 약해진 여성의 뼈는 50대 이후 골다공증 등 다양한 뼈 질환으로 이어진다. 폐경기에 접어들기 때문이다. 폐경기에는 여성호르몬이 결핍돼 뼈의 생성을 방해하고, 뼈로 흡수되는 칼슘을 감소시켜 골다공증을 유발하기 십상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보면 골다공증으로 병원을 찾은 여성이 93%를 차지해 남성보다 12배 이상 많다.

문제는 갈수록 여성들의 폐경 시기가 앞당겨 지고 있다는 것이다. 폐경이 빨라질수록 근골격계질환 유발율도 증가하기 마련이다. 해운대 자생한방병원에 따르면 지난해 척추나 관절질환으로 내원한 40대 이상 여성 3백명을 상대로 조사해보니 전체의 85%가 폐경에 진입했다. 평균 폐경연령이 47.5세였다. 대한폐경학회 조사에서는 49.7세였다. 이 학회는 오는 2030년이면 한국 여성의 43%가 폐경에 접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골다공증으로 골밀도가 심각하게 감소하면 가벼운 충격에도 압박골절이 일어난다. 통증은 물론 뼈가 잘 붙지 않아 회복기간도 현저히 늘어나게 된다. 척추 뼈와 연조직이 퇴행하면서 퇴행성 디스크, 척추관협착증, 퇴행성 관절질환으로 이어져 만성통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골다공증은 골밀도를 검사해 진단하며, 생활습관 개선과 약물요법을 병행해 치료한다. 약물치료는 환자 상태와 증상에 따라 여성호르몬제제, 칼슘, 비타민, 스테로이드성 의약품 등을 사용하는데, 장기화되면 소화기 장애와 설사, 구토, 안면홍보, 고칼슘혈증 등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최근에는 서울대 약대 천연물과학연구소와 자생의료재단 척추관절연구소가 공동으로 연구해 부작용의 우려가 적은 한방 생약복합물이 골감소와 골다공증을 억제하고 뼈를 보호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연구논문은 지난 달 SCI급 국제 학술지인 ‘BMC 보완대체의학’에 발표됐다.

    배민철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