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인 고를 때 여성들 부정적 정보에 더 민감

 

어떤 햄버거가 90%는 무 지방이고 나머지 10%는 지방이 있다고 할 때 무 지방이라는 소리에 더 끌리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의 선택은 비슷한데 인간은 좀 더 긍정적인 선택을 선호하도록 구조화돼 있다.

이는 ‘프레임 효과’라 불리는 것이다. 프레임 효과는 영역 효과라고도 하는데 사람에게는 일생에 걸쳐 정신적-감정적 이해를 위한 틀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틀을 세상을 이해하는데 사용한다는 것이다.

캐나다의 컨커디아 대학 연구팀이 이런 프레임 효과를 사람들이 배우자를 택할 때 적용해 새로운 연구결과를 내놨다.

컨커디아 대학 마케팅학과 가드 사드 교수와 윌프리드로리어 대학 트리파트 질 교수팀은 ‘진화와 인간 행동(Evolution and Human Behavior)’ 저널에 게재한 연구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짝을 고를 때 프레임 효과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훨씬 강하게 나타난다”고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배우자를 고를 때 여성은 부정적인 영역 정보에 더 맞추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육투자이론으로 불리는 진화론적인 현상 때문이다.

사드 교수는 “빈곤한 부양자나 사랑받지 못하는 아버지가 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배우자로 선택하면 여성과 자손에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여성들은 장래의 배우자감을 평가할 때 부정적인 영역 정보에 더 민감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팀은 수백 명의 젊은 남녀를 대상으로 잠재적 배우자감에 대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프레임화 된 설명을 제공한 뒤 실험을 실시했다. 프레임화 된 설명의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하나는 긍정적인 프레임으로 “이 사람을 아는 10명 중 7명은 이 사람이 친절하다는 것을 안다”라는 것이고 다른 부정적인 프레임은 “이 사람을 아는 10명 중 3명은 이 사람이 친절하지 않다는 것을 안다”로 설명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여기에 △매력적인 신체 △매력적인 얼굴 △잠재적인 경제능력 △야망 △온화함 △지적능력 등 배우자 선택 시 중요한 속성 6가지를 적용해 프레임 효과를 테스트했다.

그 결과, 여성들 대부분은 6가지 속성이 똑같은 경우라도 부정적인 프레임으로 설명된 사람과는 데이트할 의사가 전혀 없다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프레임 효과에 민감하다는 것을 드러낸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진화론적 렌즈가 프레임 효과와 같은 비이성적인 의사 결정 편향의 생물학적 기원에 대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를 규명해냈다”고 말했다. 이런 내용은 의학 전문 사이트인 유러칼레트가 보도했다.

    권순일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