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남의 ‘뒷담화’에 유독 예민한 이유

 

자기방어 위한 정보 수집

남을 헐뜯거나, 듣기 좋게 꾸며 말한 뒤 뒤에서 하는 대화를 뒷담화라고 한다. 이런 뒷담화는 악의적이고 심술궂은 것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어지간한 사람은 이런 뒷담화 자리를 피하지 못하고 동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렇게 사람들이 뒷담화에 참여하는 이유가 뇌가 집중해 스스로를 보호하려 하는 행동의 일종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미국 노스이스턴대학의 리사 베넷 박사 연구팀은 시각현상을 이용해 사람들이 사물에 집중하는 패턴을 연구했다. 양 쪽에 전혀 다른 사진을 놓고 동시에 보도록 한 뒤 눈은 어느 쪽에 집중하는지를 관찰했다.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들어오는 이미지는 서로 조금씩 다른데 대부분 뇌는 이를 잘 조화시킨다. 하지만 아주 다른 이미지가 동시에 양쪽 눈에서 들어오면 양 눈은 제각각 자기 정보가 중요하다며 의식을 집중시키기 위해 경쟁한다.

이 때 뇌는 양 눈을 조화시키는 대신 어느 한 쪽을 집중 인식하기 위해 선택을 끊임없이 바꿔 양 눈의 이미지에 교대로 집중한다. 연구팀은 66명의 대상에게 온화하고 붙임성 있어 보이는 얼굴 사진 두 장을 동시에 놓고 그들의 평소 생활을 들려주었다.

예를 들어 “마트에서 노인을 도와줬다”거나 “성질이 못돼 같은 반 친구에게 의자를 집어 던진다”와 같이 좋거나 나쁜 내용도 포함했다. 또 사진을 보면서 집중력이 떨어지도록 실험 내용과 무관한 키보드 입력을 시키거나 다른 이미지를 제시하기도 했다.

연구진은 다른 51명에게도 같은 실험을 한 뒤 둘을 비교했다. 그 결과, 두 실험 모두 사람들은 뒷담화 대상인 사람들의 사진을 보면서 더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나쁜 소문이 들리는 사람의 사진을 더 오래 바라보았다.

베넷 박사는 “별 소문이 없거나 좋은 소문이 있는 사람의 사진을 보는 시간은 짧았지만  뒷담화의 대상은 유심히 쳐다봤다”며 “이는 우리 뇌가 자기에게 해를 끼칠지도 모르는 사람은 유심히 보고 방어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려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과학전문 주간지 ‘사이언스(Science)’에 게재됐다.

    권순일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