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58% 가정에서 발생

심폐소생술 교육 확대해야

심정지가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이

요구된다.

보건복지가족부가 24일 발표한 ‘2008년 심뇌혈관질환 조사감시 결과’에 따르면

심정지 환자는 인구 10만 명 당 40∼42명이 발생하며 공공장소(26.6%)보다 가정(58.0%)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정지란 심장발작, 외상 등으로 인해 심장이 정지된

상태를 말한다.

특히 구급차 도착시간(7.8분), 병원 이송시간(24.5분) 등은 양호한 반면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실시율(1.4%)과 구급대원의 자동제세동기 실시율(9.4%) 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정지 생존율은 2.4%로 미국 8.4%, 일본 10.2%에 비해 크게 뒤떨어졌다. 초기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가 회복률이 높이 나타나 심폐소생술 실시 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심정지의 주요원인질환인 심근경색증 등록자료 분석결과 환자의 8.1%가

사망했는데 119구급차를 이용한 경우가 22.6%에 불과하고 다른 이송수단을 사용했을

때는 구급차(88분)에 비해 3배 이상(241분) 지연됐다.

의료기관에서 관상동맥 중재술이 적절히 시행된 환자들은 47.9%로 병원 내에서

신속한 치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주요원인질환인 뇌중풍은 증상발생 후 119 신고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려

1시간 이내가 51.8%, 119구급차 이용률도 30.6%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증상 발생

후 응급실까지 도착하는 시간은 7시간으로 치료가능 한 기준시간인 3시간 이내가

33.8%에 불과하고, 6시간 이상도 52.8%이나 됐다.

복지부는 이러한 조사결과에 대해 심정지 및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해 국민의 대응능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분석하고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홍보

예산을 2009년 9억 원에서 2010년 39억 원으로 확대키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심정지 환자 발생시 일반인도 쉽게 쓸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 1만

500대를 아파트, 공공장소 등에 설치하고 자원봉사자를 교육하는 시범사업을 내년에

도입해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119구급대의 전문적 응급처치를 향상하기 위해

지도의사를 상황실에 배치하는 시범사업 등도 도입된다. 이밖에 권역별 심뇌혈관질환센터를

현재 6개소에서 9개소로 추가 지정하고 지원을 강화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조사가 햇수로 2년째에 불과해 과거 지표와 비교 분석이

원활하지 않은 점이 있으나 향후 조사체계를 계속 개선해 국가 수준에서 심정지와

심뇌혈관질환의 발생과 위험요인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대표조사로 육성할 것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소수정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6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