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로만 “신종플루피해 최소화”…실행없어

첫 사망자, 기준보다 체온 0.1도 낮아 신종플루 의심서 제외돼

정부는 지난 7월21일 신종플루에 대한 국가 전염병 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올리면서 기존의 ‘봉쇄와 차단’에서 ‘피해 최소화’로 정책 방향을 바꾸겠다고

발표했다. 신종플루가 이미 지역사회로 퍼진 이상 중증환자나 사망자 발생을 최대한

줄이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런 장담에도 불구하고 15, 16일 잇달아 신종플루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사망 같은 큰 피해를 줄이겠다는 약속이 무색해졌다.

질병관리본부는 전염병 단계를 바꾸면서 “신종플루를 진단하고 치료할 지역거점병원을

지정하겠다”고 했고 일부 지정이 이뤄졌지만 신종플루 환자를 위한 격리 병상 마련

같은 지원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지역사회로 전파되는 상황에서 위기

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 조정하고 ‘피해 최소화’ 정책을 택한 것은

적절했다”면서도 “그러나 이런 변화를 위해서는 보건 당국과 일선 병원과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이러한 협력, 그리고 항바이러스제 지급, 진단체계 확립, 음압

시설 확충, 방어복 지급 같은 지원이 제대로 이뤄졌는지에 대해서는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두 사망 사례에서는 일선 병원 또는 보건소의 대처는 많은 문제점을 드러냈다.

두 사망자 모두 병원 세 곳을 돌아다녔지만 의료진들은 신종플루를 의심하지 않았고,

상태가 악화된 뒤에야 신종플루 관련 검사를 했다. 신종플루가 맹위를 떨치고 있는데도

방역 체제가 헛돌고 있는 것이다.

김 교수는 “15일 숨진 56대 남성은 신종플루 고위험 지역인 태국을 여행하고

돌아와 고열 증상으로 보건소를 찾았는데 체온이 신종플루의 진단 기준인 37.8℃에서

0.1℃ 모자라는 37.7℃였다는 이유로 되돌려 보내졌다”며 “보건소가 안이한 대처를

했다”고 아쉬워했다.

김 교수는 “현재 신종플루는 남반구에서 많은 사망자를 내고 있으며 이번 사망

케이스들은 우리에게도 이런 사태가 시작되고 있다는 증거”라면서 “이제 곧 개학을

하고 기온이 떨어지면서 더 많은 환자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더 늦기 전에 백신을

확보하고 고위험군, 어린이, 전파력 잠재군 등에 예방 접종을 하는 등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경훈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