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방역체계 수립 지금이 적기

한림원 토론회, 피해액 10%만 투자해도 대형 참사 예방

‘닭 잃고 닭장 고치지 말고 피해액 10%만 투자하자’

조류인플루엔자(AI) 피해액의 10% 정도만 사전에 투자해 방역체계를 갖추면 AI

대형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울대 수의대 김재홍 교수는 “2003년 12월 첫 발생한 AI의 방역에 소요된 직간접

비용이 6000억~7000억 원에 달했다”며 “이 중 10%인 700억 원만 투자해도 효과적인

방역체계를 마련, 농가와 외식업체 등 관련 산업 붕괴를 차단하고 사회불안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4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 ‘고병원성 AI의 국내외 발생양상과

우리의 대응방안’이란 주제로 열린 한림원탁토론회에서 김 교수는 주제 발제를 통해

1차 AI 발생 105일 동안 직접 방역비 1500억 원, 간접피해액 2800억 원 등 총 피해액을

6000억~7000억 원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는 말로만 선진국이지 방역체계는 후진국 수준”이라며 “제대로

된 방역시스템을 갖추는데 예산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5일 이후 국내 AI 추가 발생, 신고는 단 한 건도 접수되지 않아 현재로서는

진정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AI바이러스 유입이 반복될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체계적 방역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토론에 참여한 전문가들 역시 AI가 소강상태로 접어들고 있는 지금이 체계적인

방역대책을 마련할 적기라고 입을 모았다.

건국대 수의과 송창선 교수는 “방역은 열심히 하고 있지만 과학적 효과는 의심스럽다”며

“올 가을이나 내년 봄에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인수공통전염병학회 박승철 회장은 정부의 전염병대응시스템을 지적했다.

그는 “지난해 2월 정부는 ‘인수공통전염병 정부대응 시스템’ 만들겠다고 했지만

방역지휘부가 제대로 상황인식을 하지 못한데다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아

제대로 된 것이 없다”고 꼬집었다. 박회장은 .“사스가 일어난 후 질병관리본부에서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한 것을 본받아 농림부도 별도의 가축질병관리본부를 두는

방식의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날 토론은 한림원에서 정리해 국가가 정책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조경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