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나를 만들기 위한 방법

최근 정신 의학자들은 어두운 쪽에서 밝은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들은 100년 이상 정신분열과 우울증 등 주로 정신 병리에 대해 연구했지만 최근 ‘행복의 실체’를 찾기 시작했다. 미국에서는 미국심리학회의 마틴 셀리그맨 회장 등 60여명의 정신 의학자들이 수백만 달러의 지원금을 받아 행복의 실체를 찾고 있으며 이 분야에 ‘적극적 심리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소개했다.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셀리그맨 회장은 “행복을 느끼는 기준은 개인마다 달라 똑같은 사안에 대해서도 어떤 사람은 행복감을 느끼지만 어떤 사람은 별 감흥이 없다”면서 “이런 차이는 유전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함께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한다.

유전적 요인이 행복의 강도를 결정할 때 ‘행복 유전자’가 홀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낙관성 부끄러움 등을 결정하는 여러 유전자가 함께 관여한다.

다른 사람보다 행복을 잘 느끼는 사람이 건강한 것은 확실하다. 온화한 사랑을 하거나 기도, 명상 등의 방법으로 삶에 대해 감사하고 행복감을 느끼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심혈관질환과 암 등 각종 질환에 덜 걸린다는 연구 결과는 무수히 많다.

▽적절한 목표가 행복을 보증한다〓자신이 평소 관심있는 분야에서 적절한 목표를 세우는 것은 행복한 삶을 위한 첫걸음이다. 이에 반해 주위 사람 등에 떠밀려 목표를 세우면 이를 성취해도 기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목표는 ‘○○○처럼 되겠다’는 식보다는 ‘컴퓨터 관련 일자리를 찾으면 행복하겠다’식의 구체적인 것이 낫다.

그러나 지나치게 구체적이면 곤란하다. ‘컴퓨터 관련 일자리를 할 수 있으면 좋고 잘 할 수 있으면 더욱 좋다’는 식의 목표를 세우는 것은 행복감을 줄 수 있지만 ‘컴퓨터 작업에서 ○○○보다 10% 성과를 더 얻겠다’는 식으로 자신을 옭아매는 목표는 곤란하다.

또 일을 일로만 여긴다면 행복해질 기회를 스스로 놓치는 것과 같다. 자신의 일에 재미를 붙이는 목표를 정하도록 한다. 자신의 직업이 지긋지긋할 경우 평소 관심이나 가치관과 맞는지 되새겨 보고 거리가 있다고 여겨지면 늦기 전에 바꿔야 한다.

▽낙관적 감정을 키워라〓낙관적 감정이 행복감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낙관적인 사람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잘 구별하고 ‘절망 속의 빛’을 찾는 능력이 비관적인 사람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행복해지기 마련. 낙관적 감정은 건강에도 좋다.

미국에선 어릴적 매사를 밝게 보도록 집중적으로 교육받은 학생이 중학교 때 우울증 발생 빈도가 다른 아이보다 훨씬 낫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됐다.

미시간대학 심리학과 바브라 프레드릭슨 교수는 “성격은 어쩔 수 없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지만 조금만 노력하면 낙관적 감정을 가질 수 있다”고 말한다.

프레드릭슨 교수는 학생들을 네 무리로 나눠 비디오를 통해 꽃밭에서 뛰어노는 강아지, 물보라 치는 파도, 신파극, 컴퓨터 바탕 화면을 각각 보여줬다.

앞의 두 화면을 본 학생들은 뒤의 두 화면을 본 학생보다 더 행복감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소 즐겁고 밝은 것을 가까이 하면 행복감을 높일 수 있다. 또 평소 유머를 자주 듣고 사용하면 성격이 낙관적으로 변해 행복해질 수 있다.

▽은은한 행복을 즐겨라〓각종 연구 결과 은은한 만족감이 순간적이고 강렬한 기쁨보다 행복감이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은은한 행복감을 가지려면 주위에 대해 고마움을 느끼고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 로버트 에몬스 교수는 “사람들에게 매일 또는 매주 5개씩 고마운 것들을 쓰게 했더니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건강이 좋고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감동적 일을 경험하는 것도 ‘행복의 길’로 들어서게 한다.

버지니아대학 심리학과 조나단 해이트 교수는 테레사 수녀의 다큐멘터리를 본 학생들은 자원봉사에 관심을 갖는 반면 드라마를 본 학생은 TV 프로나 음식에 관심을 갖게 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해이트 교수는 “사랑을 베푸는 과정에서 성격이 낙관적으로 변하고 행복감을 더 잘 느끼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성주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