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부추기는 까마귀 언론

요즘 언론의 자살(自殺)과 관련한 기사를 보면 얼굴이 붉어지고 가슴이 타들어간다.

뜬금없이 또 욕을 먹게 된 까마귀들에게는 미안한 일이지만, 한국 언론을 ‘까마귀 언론’이라고 부를 수밖에 없다.

지난 2004년 7월 인터넷을 통해 자살이 유행병처럼 번져가자 보건복지부, 한국자살예방협회와 한국기자협회는 ‘자살보도권고기준’을 채택, 당시까지의 자살에 대한 선정적인 보도를 반성하고 자살 예방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기자협회는 자살에 대한 묘사, 동기를 함부로 단정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 신중하고 사려 깊은 노력과 실천을 하겠다고 다짐했고 주요 언론사들도 이 선언에 동참했다. 하지만 기자님들이 까마귀 고기를 과식(過食)했는지, 똑같은 현상이 되풀이되고 있다.

연예인의 애인이었다는 호스티스 A씨의 자살 보도는 자극성(刺戟性)의 극치였다. 신문도 예외에서 벗어날 수 없겠지만 특히 방송과 인터넷이 오두방정 수준이었다. 중앙일보의 조인스닷컴에서는 A씨의 애인인 탤런트가 누구인지 요랬다 조랬다하면서 누리꾼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MBC의 ‘섹션 TV 연예통신’에서는 A씨의 휴대전화 사진에 자살 직전 탤런트와의 통화 내용까지 보여주는 선정성을 발휘했다.

선정적인 자살 보도가 모방 자살을 유발한다는 것은 학계에서는 상식이다. 특히 유명인사들(Celebrities)의 자살이 여과 없이 언론에 소개됐을 때 모방 자살이 뒤를 잇는다. 이를 괴테의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서 따와 ‘베르테르 효과’라고 부른다.

기자들이 자살보도 권고기준을 따르겠다고 선언한 다음해 영화배우 이은주가 자살했을 때, 언론매체들은 예의 그 건망증을 활용, 자극적인 보도를 되풀이했고 모방 범죄가 급증했다.

당시 서울중앙지검의 조사에 따르면 관내 자살자가 하루 평균 0.84명에서 2.12명으로 2.5배 늘었다고 한다. 빚에 쪼들리던 한 20대 여성은 “이은주 씨가 죽는 것을 보고 고통스런 현실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며 죽음을 택했다.

알려진 대로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가운데 가장 높다. 여기에는 사회 전반의 생명 경시 풍조, 허위의식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터이다. 언론의 죄과 역시 빼놓을 수 없다.

첫째, 한국 언론은 본질적인 상업성으로 인해 자살을 상품화하고 있다.

추측성 보도를 남발해 누리꾼 사이에서 엉뚱한 사연이 전파되는 도화선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자살이 미화되고 또 다른 자살을 부른다. 필자가 가수 유니의 자살 소식에 뜨끔했던 것은 호스티스 A양의 보도 직후에 발생한 때문이다.

둘째. 한국의 언론들은 도대체 공부를 하지 않는다. 시스템에서 업그레이드 장치가 없어 과거의 오류를 계속 되풀이한다. 공부하는 기자가 손해를 보고, 이에 따라 기자들이 공부를 하지 않는다.

이런 분위기에서 기자들은 자살의 기본적 메커니즘에 대해서도 알 필요가 없다.

의학적으로 자살은 대부분 우울증 등 뇌병리적인 이유로 발생한다. 자살을 하는 사람은 뇌의 신경전달물질 분비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자살을 선택하며, 다른 사람의 자살은 이러한 선택을 충동질하는 요소가 된다. 당연히 자살도 예방과 치유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지만 공부하지 않는 언론은 근대소설의 선악(善惡) 패러다임 또는 천민자본주의의 스캔들 수준에 머물러 있다.

무지하면 경박해지기 마련이다. 사랑이나 ‘So What?’에 대한 탐구가 있을 수 없다.

2005년 11월 삼성 이건희 회장이 아끼는 딸 윤형 양이 자살했을 때 대부분의 신문은 객관적 사실 위주로 보도했다. 사실 이것이 자살 보도의 전형이며 윤형양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숨졌어도 이렇게 보도해야 한다. 하지만 일부 언론은 주요 신문이 삼성의 눈치를 본다고 따졌다. 무지한 언론의 전형인데, 이런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하는 ‘그라샴의 법칙’이 언론에서 수시로 벌어지고 있다.그렇다고 언론 탓만 하고 나 몰라라 할 수도 없다.

정신과 의사들을 비롯한 의료 전문가들의 보다 효율적인 전략이 자살률을 낮추기를 기대한다. 자살예방협회의 전문가들은 ‘제도권 매체’의 업그레이드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국 언론은 오너나 편집국장이 바뀌면 이전의 교육사실을 까먹는다.

따라서 매달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자살을 줄이기 위한 홍보전을 펼쳐야 한다. 요즘에는 ‘옹이에 마디’라고, 매체가 다양화하면서 보도의 경박화가 심해지고 있으며 이것이 자살보도의 선정성을 높이는 촉매가 되고 있다. 전문가들이 주로 접촉하지 않는 인터넷 사이트나 스포츠지, 방송의 연예 프로그램이 자살을 부추기는 데 선봉장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10년 전에는 언론이 사회를 이끌어 갔다. 하지만 지금은 그것을 기대할 수 없는 세상이다. 독자가 신문을 만들고, 시청자가 방송을 만든다. 특히 전문가의 역할이 크다. 마지막까지 까마귀들에게 미안하지만, 우리 언론이 까마귀 속성을 가졌다는 것을 의료인들이 절감하고 있다면 해결책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언론의 특정 사안에 대해 끊임없이 말해야 한다. 자살보도뿐 아니라 다른 선정적인 의학 기사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보도가 조금씩, 조금씩 바뀐다면 그래서 ‘까마귀 언론’이 ‘까치 언론’이 된다면 국민건강도 좋아질 것이다. 그것이 바로 의료인들이 바라는 바가 아닌가?.

    이성주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