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극소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 새 치료법 나와

초극소 미숙아에서 발생한 ‘동맥관 개존증’을 약물 및 수술로 치료하지 않고, 미숙아에게 공급하는 수액의 양을 조금 줄이는 등의 방법만으로도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내 의료진이 처음으로 밝혀냈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박원순-장윤실-성세인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소아과학 국제 학술지인 ‘Journal of Pediatrics’에 최근 발표했다.

자궁에는 태아의 혈액순환을 위해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를 연결해주는 ‘동맥관’이라는 혈관이 있는데, 건강한 만삭의 경우 출생 후 ‘태아 혈액순환’에서 ‘신생아 혈액순환’으로 전환되면서 닫히게 된다. 하지만 미숙아는 이러한 자연 폐쇄가 잘 일어나지 않아 동맥관이 출생 후에도 지속적으로 열려 있는 경우를 ‘동맥관 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이라고 한다.

연구팀은 임신 23-26주에 입원한 초극소 미숙아 178명 대상으로 2009-2011년 약물 및 수술 치료를 한 미숙아(81명)와, 2012-2014년(97명) 보존적 치료를 받은 미숙아 그룹과 비교해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수액 양을 조절하는 보존적 치료만으로 동맥관의 자연 폐쇄를 유도했을 뿐 아니라 장기 합병증의 빈도에서도 만성폐질환 발생 빈도를 46%에서 35%까지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맥관 개존증’은 초극소 미숙아의 사망과 합병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약물 및 수술 치료를 시행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에 대한 부작용 우려가 높아져 동맥관의 자연패쇄를 기다리는 보존적 치료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성세인 교수는 “동맥관의 조기 폐쇄를 유도하려면 매우 정밀한 수준의 수액 제한 치료가 필요한데, 이 것이 가능해졌다”면서 “특히 수술적 치료의 후유증을 고려했을 때 이러한 침습적 치료 없이 미숙아 동맥관의 자연폐쇄를 이룰 수 있게 된 점은 큰 의미를 지닌다” 고 밝혔다.

    김용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