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물만 빨아먹고… 나를 그렇게 씹지 마라

 

정은지의 식탁식톡 (18) / 추잉껌

동물의 원초적 본능이 ‘저작(咀嚼)’에 있다 하더라도,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가 단순히 ‘씹히기 위함’이라면, 그만큼 기구한 운명의 식품이 또 있을까요? 씹히고 씹히다 단물 빠져서야 버려지는 슬픔, 사람들은 알 리가 없지요. 오늘 ‘씹힐’ 작정하고 이 자리에 나온 저는 껌입니다.

불량하게 씹어대다 길가에 함부로 뱉어내는 사람들 때문에 저는 담배꽁초 다음으로 생활환경 오염의 골칫거리가 되어버렸습니다. 아작아작 씹히는 것도 서러운데, 콘크리트 바닥 위에 붙은 채 옴짝달싹 못하는 ‘껌 딱지’의 운명에 처해진 것입니다. 누군가의 발에 끈적하게 달라 붙기라도 하면 된통 욕을 얻어 먹기 일쑤죠. 무엇보다 껌 딱지 떼어 내는 청소부께 귀찮은 존재가 되어 면목없을 따름입니다.

땅바닥, 건물 벽, 의자 등등 어디에 덕지덕지 붙여 놓은 저로 인해 환경은 점차 오염되고 있는데요. 껌 딱지를 떼어내기 위한 작업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은 엄청납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껌이나 껌 포장지 처리에만 연간 2백만달러(22억840만원)의 비용이 든다는 조사결과도 있습니다. 배보다 배꼽, 아니 땅보다 껌 딱지가 더 큰 격이랄까요.

이런 이유로 영국에서는 콘크리트 표면에 붙지 않는 껌을 개발하기도 했다지요. 하지만이렇게 기능성 껌이니 뭐니 이른바 ‘신분 세탁’을 해도 저는 ‘우아한 초콜릿’은 될 수 없나 봅니다. 어느 ‘노는 언니’의 입에서 딱딱 소리라도 나올라 치면 ‘싼티’ 이미지 벗을 수 없어, 저를 그렇게 밖에 이용 못하는 사람들이 야속하기만 합니다. 껌은 씹어야죠. 씹어야 껌이죠. 저도 압니다. 제 운명이 거기까지라는 것을. 껌은 생명 유지에 필요한 영양 식품도 아니고, 더군다나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식품과는 분명히 다르죠. 그렇다고 하찮게 생각하지만 말아주세요. 저 껌이요. 곱게, 단정하게, 유익하게 씹을 수도 있잖아요.

고대 그리스인들은 유향 나무의 송진인 마스티케를 씹었고, 고대 마야인들은 사포딜라 나무의 수액인 치클을 씹은 것이 저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데요.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이 가문비 나무의 송진을 씹은 데서 미국인 존 커티스가 최초 추잉껌을 발명하게 됩니다. 그리고 점차 상용 생산이 되고, 현재의 추잉껌의 모습으로 변하게 됐지요.

사람들이 저 껌을 씹는 주된 이유는 입 냄새 제거와 각성 효과 때문일 것입니다. 밥 먹고 난 뒤 양치를 할 수가 없을 때, 간편하게 저를 찾죠. 식사를 하고 난 다음 20분 정도 무설탕 껌을 씹으면 치태를 제거하고 치아 에나멜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충치나 치은염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지요. 또한 껌을 씹으면 입안에 침이 고여 있지 않고 계속해서 순환하기 되기 때문에 이가 썩는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가 치아에 정착하는 것을 막을 수도 있습니다. 저를 씹으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10배가량 침 분비를 자극할 수 있으므로 입안이 쉽게 건조해지지 않지요. 침이 마르거나 입안이 건조해서 불편함을 느낀다면 껌을 씹는 것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NCBI)에 등록된 논문에 따르면 껌은 정신을 맑게 만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턱을 이용해 씹는 동작이 각성반응과 관련이 있는 뇌 부위와 신경을 자극하고 혈류의 흐름을 증가시키기 때문이죠. ‘껌 좀 씹었던 사람들’은 공부는 안하고 놀았던 사람들에게 표현되는 은어잖아요. 그런데 집중력이 높은 사람들을 가리키면 안 되는 것일까요? 

미국 세인트로렌스 대학 심리학자들에 따르면 저는 정신력을 강화하는데도 도움이 되는데요. 특히 집중력, 기억력, 반응속도 등 인지기능과 연관이 있는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연구팀이 15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어려운 퍼즐을 맞추도록 한 결과, 껌을 씹으며 퍼즐을 맞춘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40%정도 뛰어난 수행능력을 보였습니다. 저를 씹음으로써 혈류량이 많아져 뇌로 공급되는 산소가 증가해 뇌 기능이 향상되기 때문이었습니다. ‘껌 씹는다’라는 행위가 이렇게 긍정적인 결과를 일으키는지 모르셨죠?

스트레스 받을 때도 껌을 씹어보세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수치를 떨어뜨리는데도 제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호주 스위번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껌을 씹으면 코르티솔이 감소하기 때문에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나쁜 습관을 고치는데도 껌 씹기를 이용해보세요. 손톱을 물어뜯거나 다리를 떠는 등의 습관을 껌을 씹음으로써 서서히 고쳐나갈 수 있어요.

일정 시간 지나면 저를 뱉어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냥 삼키기도 합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은 ‘뱉기의 원칙’을 자주 무시하죠. 실제로 저를 너무 많이 삼킨 탓에 큰 일이 일어난 경우도 종종 있어왔습니다. 껌을 삼키는 습관 때문에 장폐색증, 변비, 복통 등이 생긴 어린이들의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죠.

한때, 절 삼키면 무려 7년간 몸 속에 머문다는 설이 나돌았는데요. 껌이 7년 동안 몸 안에 남아 있는 경우는 엄청난 양의 껌을 한꺼번에 삼킬 때라고 하니,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통 씹다가 삼키게 되면 저는 소화기관을 통해 자연스럽게 내려갑니다. 대개 2㎝ 이하 작은 것들은 무심코 삼키게 되더라도 위를 통과해 밑으로 내려가 배변을 통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저는 다른 물건보다는 훨씬 부드럽기 때문에 몸에 해를 끼치지 않고 배출되지요.

갈수록 저 껌을 잘 안 씹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급하게 제가 필요한 순간 있지요. 삼겹살 먹은 후 여자친구와의 키스를 하게 된다거나, 중요한 미팅인데 입에 구린내가 느껴진다거나, 장시간 운전을 해야 한다거나 할 때… 그럴 땐 에티켓을 꼭 지켜주세요. 씹다가 아무데나 버리지 마시고, 종이에 꼭 감싸서 쓰레기통에 버려주세요. 잠시나마 입안의 즐거움을 선사한 저 껌을, 한 순간에 땅바닥의 ‘껌 딱지’ 운명으로 하락시키진 말아주세요. 그렇게 해 주실거죠?

계속 씹히는 이유요?

제가 입안에서 침에 의해 녹지도 않고, 기존의 성질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치클이라는 원료 때문입니다. 껌은 각각의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이 치클이라는 기초제와 감미료, 향료, 방부제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중 기초제를 제외한 단맛이나 특유의 향을 내는 성분은 뱃속에 들어가면 쉽게 녹아서 배출됩니다. 치클은 위산과 장속의 소화효소를 견뎌낼 수 있는 성분으로서, 보통 사포딜라 나무에서 채취합니다. 그런데 세계적으로 저 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사포딜라 나무에서 나오는 원료만으로는 생산이 부족해졌죠. 이에 따라 현재는 천연이나 인조의 폴리머(고분자량 화합물)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습니다.

얼마나 씹는 것이 좋을까요

사람들마다 저를 씹고 뱉는 시간은 다릅니다. 거의 대부분의 껌이 10~15분 정도 씹게 되면 그 맛과 향을 잃게 됩니다. 입안 가득 저 껌의 좋은 기능을 취하시려면 20분 정도씹기가 적당합니다. 이후 뱉는다 하더라도 입안에 향은 최대 한 시간 정도 머물러 있을 수 있습니다. 오래 씹으면 턱 관절에 이상을 일으킬 수 있으니, 입안에 계속 저를 넣고 있지 말아주세요. 더욱이 평소에 편두통이 있는 사람도 절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씹을 때 두개골과 턱이 만나는 턱관절 부위에 압력으로 두통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식탁식톡 이전 기사 보기

17편_아보카도> 무슨 맛이 이래? 그러나 3번만 먹어보라

16편_수박> 나도 한땐 최고의 사치품… 속만 파먹지 마라

    정은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