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 분만법, 절대선도 절대악도 아니다

[이성주의 건강편지]시저의 분만법

황제 분만법, 절대선도 절대악도 아니다

기원전 100년 오늘(7월 12일)  로마의 영웅 줄리어스 시저(율리우스 카이사르)가 태어났습니다.

그는 여러 명언을 남겼죠?
갈리아 총독으로 부임하다 원로원이 식민지 군대의 해산을 결의하자 “주사위는 던져졌다”며 루비콘 강을 건너 로마로 진격합니다. 또 소아시아에서 전쟁에 이기고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veni, vidi, vici)”는 세 마디로 된 보고를 원로원에 보낸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그는 이런 말도 남겼습니다.
“인사(人事)를 다하고 운명의 여신이 도와주길 바라야 한다.”
“누구나 현실을 정확히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은 자기가 보고 싶어 하는 것밖에 보지 못한다.”
“아무리 나쁜 결과로 끝난 일도 처음 그 일을 시작한 동기는 선의였다.”

시저 하면 떠오르는 것 가운데 하나가 제왕절개(帝王切開)입니다.
한때 우리나라에서 시저가 어머니의 배와 자궁을 가르고 태어난 것이 ‘Caesarian Section’의 유래라는 말이 퍼졌지만 그렇지는 않은 듯합니다.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에서는 이 말의 유래 세 가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임산부가 출산 중에 숨지면 자궁을 갈라 아기를 구해야 하는 로마법 ‘Lex Caesarea’에서 유래했다는 설입니다.
둘째, 시저의 조상 중 일부가 이 수술을 통해 아기를 낳았다는 설입니다.
셋째, ‘자른다’는 뜻의 로마어 ‘Caedere’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입니다.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서는 ‘황제의 절개수술’을 뜻하는 독일어 ‘Kaiserschnitt’를 직역해 제왕절개라는 용어가 됐다고 합니다.

제왕절개는 임부가 자연분만을 할 수 없을 때 엄마와 아기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훌륭한 대안입니다.

그러나 일부 의사들이 멀쩡한 임신부에게 제왕절개를 권해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했죠? 자연분만의 분만수가가 지나치게 낮은데다 유도분만 중에 사고가 났을 때 의사에 대한 보호책이 없다는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현상입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제왕분만을 피하는 태도 역시 옳지만은 않습니다.

제왕절개술을 비롯해 어떤 치료법이라도 장단점이 있게 마련입니다. 주위에서 수군거리는 소리에 마음이 흔들려서는 안 됩니다. 어떤 치료를 받든지, 처음에 신중에 신중을 거듭해 의사를 선택하고, 일단 선택했다면 최대한 믿어야 합니다. 의사와 환자가 서로 믿을 때 치료 효과는 커진다는 것, 철칙이 아닐까요?

제왕절개를 해야 할 경우



▼자궁 안 아기의 위치가 정상적이지 않을 때
▼특정한 병이나 기형이 의심될 때
▼세 쌍둥이 이상일 때
▼임부의 산도가 감염돼 아기에게 전염이 우려될 때
▼임부의 중독증이 너무 심할 때
▼거대아가 예상될 때
▼자궁수술을 받았거나 제왕절개술을 여러 번 받았을 때
▼태반 및 탯줄의 위치가 비정상적일 때
▼심한 조산으로 미숙아가 예상될 때
▼자연분만 중 위험한 상황이 왔을 때 등

 
오늘 역시 시원한 노래 두 곡을 준비했습니다. 스콧 멕켄지의 ‘If you’re going to 
San Francisco’와 비치 보이스의 ‘Surfin’ USA’입니다 
If you’re going to San Francisco 스콧 멕켄지
Surfin’ USA 비치 보이스

    이성주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