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심할수록 대화 중 스마트폰 많이 본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영어로 ‘퍼빙(phubbing)’이란 신조어가 있다. 전화(phone)와 무시(snubbing)의 합성어로 대화 도중 휴대전화만 들여다보는 것을 말한다. 일상에서 많이 목격되는 이런 행위가 상대를 무시하는 무례한 행동임을 환기시키기 위한 말이다. 퍼빙을 자주 하는 사람은 무례한 것을 넘어 정신건강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고 미국 건강의학 포털 WebMD가 25일 보도했다.

미국 조지아대 제니퍼 샘프 교수와 오클라호마대 커뮤니케이션학과 선주형(한국인) 박사과정은 스마트폰 사용습관, 사회적 상호작용,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 참가자 4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참가자들은 “내 휴대전화에나 신경쓰는 게 낫겠다”나 “친구들이 내가 휴대전화를 너무 많이 이용한다고 말한다” 같은 문항에 대해 1~5점대의 설문에 답했다.

이를 분석한 결과 우울증과 사회적 불안이 클수록 휴대전화 화면에 코를 박고 있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우울증이 심각한 사람일수록 상호작용을 회피할 가능성이 높았고 사회적 불안감이 있는 사람들은 얼굴을 맞대고 소통하는 것보다 휴대전화로 소통하는 것이 더 편하다고 응답했다.

또 신경증이나 부정적인 감정에 주목하는 성격적 특징을 보이면 퍼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대로 다른 사람과 말다툼을 피하려 하고 유쾌한 사람은 친구들과 함께 있을 때 휴대전화에 대한 관심이 덜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진은 또한 3명 이상의 사람이 모여 있을 때 다른 사람이 대화를 주도하는 동안 휴대전화로 관심을 돌려도 괜찮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샘프 교수는 이런 행태가 업무를 볼 때 휴대전화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해줄 수 있다고 봤다. 또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으로 퍼빙이 더 많아질 수 있다고 봤다. “사람들은 팬데믹 기간 다른 사람과 연결되기 위해 휴대전화와 다른 기술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기에 얼굴을 맞대고 의사소통하는 것보다 문자메시지와 비디오메시지로 의사소통하는 것을 더 편안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문제는 과도한 휴대전화 사용이 우울증과 사회적 불안, 신경과민을 완화시키기 보다는 악화시키고 우정 만족도를 저하시킨다는 데 있다. 이번 연구의 아이디어를 내 논문 제1저자가 된 선주형 씨는 “당신이 말하는 것을 듣고 있다, 이 만남이 중요하다, 그리고 당신에게 집중하고 있다는 신호”라면서 대화나 회의 중에는 휴대전화를 끄거나 화면이 보이지 않게 뒤집어 놓을 것을 권했다. 해당 논문은 올해 6월 ‘행동과 정보기술(Behaviour and Information Technology)’지에 실렸다.

    한건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