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의 헬스앤] “의사들은 왜 그리 싸늘한가요?”

사진은 글의 특정 사실과 관계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 글의 제목을 달 때 좀 망설였다. “의사들은 왜 그리 싸늘한가요”라는 말을 일반화할 순 없기 때문이다. 지금도 힘든 여건 속에서 헌신적으로 환자를 돌보며 소통하는 의사들이 많다. 환자, 특히 죽음을 떠올리는 말기 환자의 생각은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 주위의 말 한 마디에 큰 상처를 받는다. 의사뿐만 아니라 가족도 환자의 마음에 생채기를 내는 말을 삼가야 한다.

복막암 4기와 싸우고 있는 권순욱(40세) 감독이 의사들에게 한 말이 주목받고 있다. 그는 “죽고 싶은 마음이 전혀 없는데, 의사들은 왜 그리 싸늘한가요?”라고  SNS에 썼다. 광고-뮤직비디오 감독인 그는 가수 보아의 오빠로도 유명하다. 복막암은 복부 내장을 싸고 있는 복막에 생긴 암이다.

그가  공개한 의무기록를 보면 ‘환자의 기대여명은 3~6개월 정도로 보이나 복막염이 회복되지 않으면 수일 내 사망 가능한 상태’라고 적혀 있다. 권 감독은 “대학병원 3곳이 비슷한 진단을 내렸다”면서 “여러 명의 의사에게 들은 얘기”라며 SNS에 썼다.

“이 병이 나을 거라고 생각하세요? 이 병은 낫는 병이 아녜요….”
“항암(치료) 시작하고 좋아진 적 있어요? 그냥 안 좋아지는 증상을 늦추는 것일 뿐입니다.”
“(살겠다는) 환자 의지가 강한 건 알겠는데 이런저런 시도를 해서 몸에 고통 주지 말고 그냥 편하게 갈 수 있게, 그저 항암약이 듣길 바라는 게….”

의사들이 실제로 이런 말을 했는지 확인하기는 어렵다. 다만 권 감독이 고통스런  암 투병 못지않게 말 한 마디에 깊은 생채기를 입은 것은 사실인 것 같다. 그는 “복막암 완전 관해(증상 감소) 사례도 보이고, 저도 당장 이대로 죽고 싶은 마음은 전혀 없는데 의사들은 왜 그렇게 싸늘하신지 모르겠습니다”라고 적었다.

말기암 환자는 2번의 심리적 충격을 경험한다. 첫 번째가 “내가 왜 암에 걸렸을까” “왜 하필 나인가” .. 암 환자는 암 자체의 치료 못지않게 감정적 기복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두 번째가 병기를 통보받았을 때다.  2기 암도 충격인데, 4기의 절망감은 건강한 사람은 절대로 헤아릴 수 없을 것이다.  여기에 몸에 물 한 방울도 흡수되지 않는 갈증과 항암치료의 통증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 치료 막바지에는 ‘의료진과 내 주위를 지켜온 사람들이 나를 포기하지는 않을까’ 라는 생각에 스트레스가 더욱 높아진다.

 

복막암 4기와 싸우고 있는 권순욱 감독이 인스타그램에 올린 의무기록. [사진= 인스타그램 캡처]
요즘은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알리기 위해 ‘냉정함’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환자에게 괜한 희망을 심어주었다가 조기 사망에 대한 책임으로 소송을 당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싸늘함’과 ‘정확한 정보 전달’은 별개라는 생각이 든다. 명확하게 환자의 상태를 알리면서도 ‘따뜻함’을 잃지 않는 의사의 태도가 아쉬운 것이다.

의료계에서도 소통,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하는 시대다. 과거에는 의료지식이 뛰어나고 수술 잘 하면 명의 소리를 들었다. 하지만 요즘은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중요시 한다. 병원에서 의사를 초빙할 때 소통 능력도 살피는 이유다. 의과대학에서 소통 기술을 배우고  의사 국가고시에 커뮤니케이션 과목도 들어 있다.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에서는 학술대회 때면 ‘의사-환자와의 소통법’과 ‘나쁜 소식 전하기’ ‘죽음’에 대해 열띤 토론이 벌어지기도 한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나와 있는 대한암협회의 암 환자를 위한 권고수칙을 보자.

“암 진단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절망이 아닌 희망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말기 암 환자라도 100% 사망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아무리 비관적인 경우라도 살아남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희망의 증거입니다. 내가 생존하는 사람들 속에 포함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를 다지십시오.”

권순욱 감독은 이 권고수칙을 우직하게 실천하고 있는 성실한 환자인 것이다. 하지만 그는 자신을 돌보는 의사로부터는 권고수칙과는 크게 다른 싸늘한 말을 들어야 했다. 권 감독은  “SNS에 글 올리는 게 이렇게 힘든 줄 몰랐다”고 했다. 그런데도 의사의 싸늘함에 대한 서운함을 표현하는 글을 올렸다. 육체의 아픔을 뛰어 넘어 마음속에 깊은 상처가 난 것으로 보인다.

말기 환자를 주로 만나는 의사는 감정을 배제하도록 훈련받기도 한다는 주장도 있다. 감정이 섞이면 의사가 냉정함을 잃어 치료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한 명의 의사가 하루에 100명이 넘는 환자를 봐야 하는 의료시스템의 문제를 지적하기도 한다. 빨리 치료해서 더 많은 수익을 올려야 하는 국내 병원경영의 해묵은 과제를 다시 꺼내기도 한다.

짧은 진료시간에 ‘나쁜 소식’을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더라도 “유감입니다” “힘드실 것으로 생각됩니다”라는 말이라도 건네는 게 어떨까? 냉정함은 잃지 않으면서 ‘싸늘하다’는 인상은 덜 수 있을 지도 모른다.   환자와 의사의 진정한 커뮤니케이션은 강의나 시험으로 다 배울 수는 없다. 의사라면 환자와의 ‘라포(Rapport)’를 수없이 들었을 것이다. 상호 이해와 공감을 통해 형성되는 신뢰와 유대감이다.

권순욱 감독의 글에 잘못 전달된 내용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말기 환자가 느끼는 의사에 대한 서운함이 핵심이다. 극도로 악화된 몸 상태에 마음은 민감해져 있는데, 의사의 냉정함까지 더해지면 환자는 조그만 일에도 서운함을 느끼고 절망한다.

의사들은 그에게서 서운함을 느끼지 않았으면 좋겠다. 40세에 죽음과 맞닥뜨린 환자의 절박함과 스트레스를 헤아렸으면 한다. 그 환자가 내 가족이라면… 내가 모시던 의대 교수님이라면… 늘 시간에 쫓기면서 힘든 상황과 마주하는 의료현장의 의사들이 다시 ‘라포’에 대해 되새겨 봤으면 좋겠다. 의료계 뿐 아니라 모든 직종에서 소통이 강조되면서 과거와는 다른 어려움이 있다. 나도 무심코 던진 말 한 마디에 후배가 상처받진 않았는지 되돌아 봐야 겠다.

    김용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3
    댓글 쓰기
    • 권*** 2021-05-21 12:48:32 삭제

      말기환자의 마음을 잘알고, 공감해주시면될것같아요.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 ㄷ*** 2021-05-19 15:09:31 삭제

      아플수록 의사에게 의지하고 기대이게 돼는데...의사선생님들도 힘들더라도 따뜻하게 좀 하얀거짓말이라도 좀 해주었으면 ..? 사는동안만은 삶의 희망을 놓고 싶지 않을 환자의 맘이 보이네요.

      답글1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 허*** 2021-05-19 09:04:29 삭제

      싸늘해도 괜찮으니 자세히 설명이나 하시고 아무것도 안하고 진료비 받으면 낭비입니다.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