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랄 가득한 국산 천일염 특성 6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 서해안ㆍ남해안 갯벌을 중심으로 생산되는 천일염은 바람ㆍ햇빛으로 바닷물의 수분을 증발시켜 만든 소금이다. ‘굵은 소금’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천일염의 날을 맞아 대한영양사협회와 KOFRUM은 국산 천일염의 6가지 특성을 소개했다.
첫 번째 특징은 전 세계적으로 드문 갯벌 천일염이란 것이다. 갯벌 천일염은 천일염 중에서도 미네랄이 가장 풍부하다. 세계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의 0.2%만이 갯벌 천일염이다. 우리나라 갯벌 천일염은 전 세계 갯벌 천일염 생산량의 86%를 차지한다.
둘째, 칼슘ㆍ마그네슘ㆍ칼륨 등 유익한 미네랄이 들어 있다. 세계적인 명품 천일염으로 통하는 프랑스 게랑드소금보다 ‘착한’ 미네랄 함량이 더 높다. 셋째, 천일염은 장류ㆍ젓갈 등 발효 음식의 풍미를 살려준다. 젓갈 담글 때 사용하면 천일염에 든 미네랄이 유산균의 성장을 돕고, 이 유산균이 새우의 단백질 분해를 촉진해 더 맛깔스러운 새우젓이 완성된다.
넷째, 김치와 ‘궁합’이 잘 맞는다. 김치를 담글 때 미네랄이 많은 천일염을 사용하면 젖산 발효 작용이 서서히 진행돼 오랫동안 맛있는 김치를 먹을 수 있다. 천일염으로 담근 김치의 신선도가 더 오래 간다는 사실은 과학적으로도 확인됐다. 김치 발효 과정의 초기에 나타나는 유산균인 류코노스톡은 김치 특유의 상큼하고 개운한 맛을 내게 한다. 최근 국내 연구에 따르면 천일염으로 담근 김치의 전체 유산균 중 류코노스톡의 점유율이 다른 김치보다 훨씬 높았다.
다섯째, 나물ㆍ생선 요리에 천일염을 사용하면 눈과 입이 호강한다. 나물을 삶거나 데칠 때 천일염을 넣으면 푸른색이 더 선명해진다. 생선을 굽기 전 천일염을 넣은 물에 담가두면 모양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다. 김장할 때 사용하면 식재료가 쉽게 무르지 않아 아삭한 식감이 오래 유지된다.
여섯째, ‘천일염 이력제’를 통해 관리되고 있다. 족보가 있는 소금이란 뜻이다. 스마트폰으로 천일염 생산이력조회 앱에서 QR코드를 스캔하면 국산 천일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최승식 기자 choissie@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