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찌면 두통 생긴다? (연구)
영국 스완지 대학교 연구진은 2017년, 웨일스에서 특발성 두개골 내부 긴장 항진(IIH) 진단을 받은 1,765명의 사례를 분석했다. 그중 85%는 여성이었다.
특발성 두개골 내부 긴장 항진이란 뇌와 척수 주변의 체액이 두개골에 축적된 결과, 혈압이 높아지면서 머리가 아픈 병을 가리킨다. 눈 뒤쪽 시신경에 압력이 가면 시야에 맹점이 생기거나 시력을 잃을 수도 있다.
연구진은 환자의 체질량 지수(BMI), 경제적 지위 등을 살폈다. 그 정보를 건강한 이들과 비교한 결과, 살이 찔수록 발병 위험이 크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경제적 지위는 체중과 상관 없이 여성에게만 영향을 미쳤다. 특발성 두개골 내부 긴장 항진에 가장 취약한 건 가임기의 비만 여성이었다.
2000년대 접어들어 웨일스에서는 특발성 두개골 내부 긴장 항진 환자가 뚜렷하게 증가했다. 2003년에서 2017년 사이, 유병률이 10만 명당 12명에서 76명으로 여섯 배 이상 늘어난 것. 같은 기간 웨일스의 비만한 인구 비율은 29%에서 40%로 증가했다.
저자 중 한 사람인 윌리엄 오웬 비크럴 교수는 “이건 웨일스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말한다. 1975년에서 2016년 사이, 세계적으로 비만한 인구 비율은 세 배로 늘어났다. 그는 “특발성 두개골 내부 긴장 항진을 비롯해 만병의 근원인 비만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Incidence, Prevalence and Healthcare Outcomes in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A Population Study)는 ‘신경학(Neurology)’ 저널이 싣고 UPI 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용재 기자 youngchaeyi@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