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내년 2~3월 도입…지체될 가능성은 없나?

[사진=8일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코로나19 백신 도입 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코로나19 백신을 최대 4400만 명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계획대로 물량을 확보한다면 우리나라도 내년 정상화를 기대할 수 있다. 단, 백신 도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몇 가지 변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국무총리 주재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한 코로나19 백신 확보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코박스 퍼실러티 1000만 명분(2000만 회분)과 4개 글로벌 백신 기업 3400만 명분(6400만 회분) 등 최대 4400만 명분의 백신을 선구매한다는 계획이다.

관계부처와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백신 도입 특별전담팀’은 지난 7월부터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등의 글로벌 기업과 백신 선구매 협의를 시작했다. 그리고, 9월 15일 국무회의를 통해 코박스 퍼실러티 참여와 개별기업 협상을 통해 국민의 60%인 3000만 명분의 백신을 우선 확보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이후 전문가 논의 등을 거쳐 개발 백신 실패 가능성을 고려해 보다 많은 백신을 선구매하는 방향으로 확정했다.

백신 도입은 내년 1분기, 접종 시기는 미정

이에 따라 정부는 글로벌 기업과 선구매 계약 체결 절차를 진행, 코박스 물량을 제외한 6400만 회분의 백신을 선구매한다는 계획이다. 제약사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 2000만 회분, 화이자 2000만 회분, 얀센(존슨앤드존슨 계열사) 400만 회분, 모더나 2000만 회분이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아트라제네카와는 이미 선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나머지 기업도 구속력 있는 구매 약관 등을 체결, 구매 물량 등을 확정한 상태. 이렇게 선구매한 백신은 2021년 1분기인 2~3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백신 도입 시기는 정했지만, 접종 시기는 아직 미지수다. 정부는 해외의 접종 동향과 부작용 여부 등을 살핀 뒤 접종을 시작하겠다는 입장이다. 백신이 단기간 내에 개발된 만큼 안전성과 효과성 등을 신중히 검토하고, 국민 수요 등을 함께 고려해 탄력적으로 결정하겠다는 것.

물량 확보만 확실히 할 수 있다면 접종 시기는 융통성 있게 결정할 수 있다. 하루 15만 명 이상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는 미국이나 1만 명 이상의 확진자가 생기는 영국처럼 국내 상황이 심각하지는 않기 때문에 부작용 발생 등을 확인한 뒤 접종해도 늦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승인 지연, 생산량 감축 등…백신 도입 시기 늦춰질 수도

문제는 백신 도입 시기도 변동의 여지가 있다는 점이다. 국내에 첫 도입될 백신은 우리와 가장 먼저 선구매 계약을 체결한 아스트라제네카가 될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해당 제약사의 백신은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존슨앤드존슨 역시 임상이 진행 중에 있다. 앞서 두 제약사는 3상 임상 과정에서 참가자에게 부작용이 발생, 안전성 검증 차원에서 임상시험을 일시 중단한 바 있다. 현재는 임상이 재개된 상태로, 내년 1분기 승인을 목표로 임상을 완료하겠다는 목표지만, 아직 결과가 나온 것은 아니어서 가변적 요인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기업과의 선구매 물량에는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물량도 포함되는데, 해당 제약사들은 원료 부족 가능성으로 현재 생산 목표를 감축한 상태다. 화이자는 올해 출하 목표를 1억 회분에서 5000만 회분으로 절반 하향 조정한 상황. 이 같은 상황이면 내년에도 출하 목표가 게속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이럴 경우 먼저 선구매 협상을 진행한 나라들로 백신이 공급되고, 국내 공급은 더욱 지연될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코박스 백신 물량 확보도 더욱 어려워진다. 코박스는 2021년 말까지 각 국가에 전 인구의 20%에 해당하는 백신을 균등 공급한다는 목표로 백신공급을 추진하고 있는 연합체지만, 각 제약사들이 원료 부족 문제로 백신 생산량을 줄이고, 이처럼 줄어든 물량을 선구매한 국가들이 먼저 확보할 경우 코박스를 통한 백신 공급도 빠른 시일 내에 이뤄지기 어렵다.

이처럼 여러 유동적 요소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부터 최악의 상황까지 고려한 백신 도입 계획이 필요한 상황이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