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헬기, 하늘 위에서 중환자실 기능 유지

삼성서울병원의 이동형 중환자실인 ‘응급의료헬기’와 ‘구급차’가 병원 중환자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심장외과 조양현 교수팀은 2014년 1월부터 2016년 8월 사이 체외생명보조장치(Extra Corporeal Life Support, ECLS)를 단 채 삼성서울병원 응급의료헬기 또는 구급차로 이송된 환자들을 분석해 이 같이 밝혔다.

체외생명보조장치란 환자의 심폐기능을 대신하는 장치로, 중증환자들은 생명 유지를 위해 이에 의존한다. 이러한 환자들은 전문적인 경험을 가진 의료진과 시설을 확보한 상급 병원으로 전원해야 하는데, 환자를 옮기는 과정 자체가 위험해 환자를 보내는 병원과 받는 병원 모두 부담이 커 성사가 쉽게 이뤄지지 않는다.

이번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 중환자실에서 체외생명유지장치로 치료 받고 있던 입원환자(148명)와 나이, 성별, 질병력 등 조건이 맞는 이송환자 44명을 추려 두 그룹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체외생명보조장치를 단 환자들의 치료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생존퇴원율에서 기존 병원 환자 그룹(64.2%)과 이송 환자 그룹(63.6%)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체외생명보조장치로 인한 부작용으로 하지 허혈과 그에 따른 절단, 급성신손상과 같은 합병증은 이송 그룹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으로 이송 온 환자 대부분은 장기간 치료하면서 상태가 많이 악화된 상태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존률은 원내 환자와 이송 환자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는 각 분야 전문가들로 이송팀과 중증치료센터 구성원을 꾸렸기 때문이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송팀에는 응급의학과 전문의, 심장외과 전문의, 중환자의학과 전문의, 간호사, 체외순환사 등이 있다. 삼성서울병원 전문 이송팀은 타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중환자의 이송 의뢰가 있을 시 다학제 회의를 연다.

이 회의에서 환자 상태를 평가해 이송 방법을 결정한다. 의식이 없는 등 심각한 신경학적 손상이 있거나 침대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가 아니라면 대개 이송 절차가 진행된다.

이송 중 발생하기 쉬운 기기 오작동으로 환자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출동 때마다 여분의 장비를 구비하고, 실제 작동하는지 거듭 확인하는 것도 생존률을 높인 이유로 설명된다.

환자 이송 수단으로는 빠른 시간 내에 환자가 있는 곳에 도달할 수 있는 삼성서울병원 자체 운용 헬기가 주로 이용됐다. 삼성서울병원은 지난 1996년 국내 처음으로 응급의료헬기를 도입했다. 2007년부터는 서울-제주 약 500km를 중간 급유 없이 운항하고, 심전도·제세동기·인공호흡기 등 첨단의료장비를 갖춘 헬기를 운용 중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송 환자 46명 중 30명(65.2%)이 헬기로 삼성서울병원으로 전원됐다. 헬기 착륙 지점이 마땅치 않거나 기상 조건 등으로 헬기 운항이 어려울 때는 전용 구급차를 이용했다.

조양현 교수는 “체외생명보조장치를 달 만큼 상태가 위중한 환자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선 상급 병원 전원이 필수지만, 이송 그 자체가 부담이 돼 주저하는 경우가 많다”며 “하지만 다학제팀을 꾸리고 충분한 시스템을 갖춘 기관이라면 더 많은 환자를 살릴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유럽흉부외과학회지(European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최근호에 게재됐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