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결핵 감염자도 검진·치료받아야 하는 이유
모든 잠복결핵감염자가 결핵 환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면역력이 약해지면 발병 가능성이 있어 사전에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받으면 결핵 발병 가능성을 60~90% 예방할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가 ‘2017~2018년도 집단시설 종사자 대상 국가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 결과를 근거로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잠복결핵감염자는 미감염자에 비해 활동성 결핵 발생 위험률이 16.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염자 중 치료를 받지 않은 사람은 치료를 완료한 사람에 비해 5.4배 결핵 발생 위험률이 높았다.
잠복결핵감염은 치료 시 활동성결핵을 예방하는 효과가 높다. 대상자를 평균 2년 2개월간 추적 관찰한 결과,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완료했을 경우 활동성 결핵 발생에 대한 예방효과가 82%에 이르렀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 감염자 100명 중 35명만이 치료를 시작하고, 이 중 29명만이 치료를 완료한 것으로 조사됐다. 잠복결핵감염 검사는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고, 치료비는 국가가 부담하니 결핵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미리 검사 및 치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잠복결핵감염 치료비 지원사업에 의하면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받는 사람은 치료 관련 비용 중 요양급여 일부본인 부담금 전액을 지원 받는다. 치료 전 활동성결핵 배제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치료 중 기저검사 및 정기 추구검사(일반혈액검사, 간기능검사, 신기능검사 등), 치료 관련 진찰료·약제비·조제료, 잠복결핵감염 치료 중 발생한 부작용 치료 관련 비용 등이 이에 속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전국 잠복결핵감염 치료 의료기관 457개를 지정·운영하고 있다. 결핵제로 누리집(http://tbzero.cdc.go.kr)에서 의료기관 명단을 확인하고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아 검사 및 치료를 받도록 한다.
문세영 기자 pomy80@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