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구체여과율, 수치만 봐서는 안 된다

[이태원 박사의 콩팥 이야기]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구체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이하 GFR)은 사구체에서 혈액을 여과해 여과액을 만드는 속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정상적으로 사구체 하나 당 1분에 20nL의 여과액을 만든다. 콩팥에는 200만 개의 사구체가 있으므로 이를 곱하면 분당 120mL의 여과액이 만들어지는 셈이다. 그런데 사구체여과율은 사구체에서 직접 측정할 수가 없다. 간접적으로 측정하거나 계산하는 방법 두 가지뿐이다. 간접 측정법에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방법과 청소율을 이용한 방법이 있는데,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은 어렵고 복잡하여 연구 목적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청소율의 개념을 활용한 여과율 측정법도 최근 임상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현재 진료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사구체여과율 측정법은 추정 사구체여과율(estimated GFR, 이하 eGFR)이다. 흔히들 건강검진 후 받아보는 결과표에는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가 나오고, 그 아래에 사구체여과율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때의 사구체여과율이 eGFR이다. eGFR은 혈청 크레아티닌 치를 기반으로 하여 나이, 성별, 체중 등의 인자를 고려하여 만든 공식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이 공식에는 혈청 크레아티닌 치가 사구체여과율에 거의 역비례하고, 사구체여과율은 나이가 들면 감소하며, 여성은 남성보다 낮고, 체중이 나가면 증가한다는 기초적 사실이 반영되어 있다.

eGFR 산정 공식에는 두 가지가 있다. Cockcroft-Gault Equation(이하 C-G공식) 과 MDRD Equation(이하 MDRD 공식)이 그것이다. 우선 C-G공식을 이용하면 자신의 혈청 크레아티닌 치, 체중만 알면 누구라도 어디에서건 여과율을 계산할 수 있다. 공식은 분자는 ‘(140-나이)X체중’이고, 분모는 ‘72X혈청 크레아티닌치’ 이다. 여성은 산출값에 0.85를 곱해주면 된다.

두 번째 공식은 가장 많이 쓰이는 MDRD 공식이다. 이 공식은 복잡하여 개인별로 직접 계산하기는 어렵고 사구체여과율 계산기(GFR calculators)를 이용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계산기 사용은 어렵지 않은데 계산기의 빈칸에 혈청 크레아티닌치와 성별, 나이만 입력하면 eGFR이 자동으로 산출되어 나온다. 참고로 하나 알아야 할 것은 위의 2 공식으로 나온 결과치는 단위가 다르다는 것이다. C-G공식 단위는 ‘mL/분’이고 MDRD 공식 단위는 mL/분/1.73㎡이다. eGFR 단위만 보아도 어떤 공식을 이용한 결과인지 알 수 있다.

종종 검진표의 결과를 보고 ‘자신의 eGFR이 얼마라고 하는데 정상입니까?’ 하고 묻는 질문을 종종 받는다. 건강검진표에는 60 mL/분/1.73㎡ 이상이면 정상이라고 표기된다. 그러나 단순 수치만 가지고 정상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는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60세 여성의 eGFR이 70이라면 정상일 수 있지만 20세 남성에서는 그 수치가 비정상일 수 있는 것이다. 나이와 성별에 따라 정상 eGFR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 가지, 일반인의 eGFR 결과를 가지고 만성콩팥병의 병기 판정표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점이다. 즉 만성콩팥병이 없는 eGFR이 70인 60세 여성에서 단지 eGFR이 70이라고 해서 만성콩팥병 2기라고 판정하는 것은 옳은 판정이 아니다. 이 분의 eGFR 감소는 만성콩팥병에 의한 eGFR 감소가 아니고 연령에 따른 자연적인 eGFR 감소이기 때문이다.

 

    코메디닷컴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11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