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의 뇌졸중 위험, 17%까지 증가한다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서우근 교수, 고려대학교 의학통계학교실 이준영 교수 연구팀은 암과 뇌졸중 사이의 인과관계를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이 2002년부터 2015년 사이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코호트를 토대로 암 환자 2만 707명과 일반인 67만 5594명의 뇌졸중 발병 위험을 비교했다.
그 결과, 암 환자의 뇌졸중 발병 위험이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허혈성 뇌졸중인 경우 17%로 위험도가 컸다. 출혈성 뇌졸중에서는 관련성이 분명하지 않았다. 이러한 간극은 암 진단 3년 차까지 커지다 7년 차까지 좁혀지지 않은 채 유지됐다.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 위험 역시 차이가 컸다. 암 진단 7년 차 때 뇌졸중 사망위험을 계산한 결과, 암 환자가 일반인에 비해 21%나 높았다. 또한, 같은 암 환자라고 하더라도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의 뇌졸중 발병 위험이 21% 더 높아 항암화학요법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밖에 뇌졸중 발병 위험은 위나 대장과 같은 소화기암이나 폐암 등 흉곽 내 장기에서 발생한 암과 뚜렷한 관련성을 보인 반면, 인두암, 갑상선암, 유방암 등 일부 암종과는 관련이 없었다.
서우근 교수는 “암으로 인한 고통도 큰 데 뇌졸중 위험까지 겹치면 환자나 가족들이 그 부담을 견디기 매우 어렵다”면서 “암 진단과 동시에 뇌졸중 위험을 관리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인뉴롤로지(Frontiers in Neurology)’에 게재됐다.
연희진 기자 miro22@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