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내 몸에 큰 병이?” 건강염려증 진단법

[사진=Aaron Amat/shutterstock]
건강에 대한 지나친 걱정만큼 건강에 치명적인 것은 없다는 말이 있다. 최근 사소한 몸의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지나치게 걱정하는 ‘건강염려증’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건강염려증으로 진단받은 사람은 3817명이다. 연령별로는 60대가 21%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대가 19%, 40대가 18%로 나타났다. 중장년층에서 많이 진단됐지만 20대(11%)와 30대(9%)에서도 적지 않게 나타났다.

건강염려증은 사소한 신체 변화나 증상만으로 신체에 질병이 발생했다고 믿는 일종의 심리적 장애다. 주로 인터넷이나 주변 사람, TV 등을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병원을 방문해 검사 결과 신체적인 이상이 없어도 이를 믿지 못하고 여러 진료과와 병원을 전전한다.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신진 교수는 “건강염려증 환자는 몸이 조금만 불편해도 이를 지나칠 정도로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신체에서 느껴지는 감각에 대해 매우 예민하게 반응한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면 소화가 조금만 잘 되지 않아도 위장이 꼬이는 듯한 통증을 느끼고 이를 위암으로 의심하는 것이다.

사회학습모델에 따르면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병을 통해 회피하려는 목적으로 건강염려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상실이나 좌절로 인한 무의식적 분노를 신체 증상으로 표현할 때도 발병하는 경향이 있다.

건강염려증 진단 기준은 ▲ 신체적 증상이나 감각을 잘못 해석해 자신의 몸에 심각한 병이 있다고 믿고, 이를 지속적으로 염려하며 불안해하는 증상을 보이거나 ▲ 내과적, 신경과적 검사 결과 신체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신체증상에 집착하여 걱정을 하느라 과도한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하는 경우다. 이러한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이를 통해 일상생활이나 업무에 지장이 있으면 질병으로 분류한다.

신 교수는 “건강염려증은 개인이나 집단 상담 등을 통해 과도하게 걱정하고 불안해하는 심리적 성향을 치료하는 것만으로도 개선되는 경우가 많다”며 “우울이나 불안 증세가 동반된 경우에는 건강염려증이 악화될 수 있어 약물치료를 함께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연희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