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블편모충감염증

정의

람블편모충은 1681년에 레벤후크(Leeuwenhoeck)가 자신의 대변에서 최초로 발견했고, 람블(Lamble, 1859년)이 세르코모나스 intestinalis로 명명했습니다. 그후 스타일(Stile, 1915년)이 지아르디아(Giardia) 속을 신설, 개명했습니다.

 

발생 현황 

⦁역학적특성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더운 지방에 많으며 주로 어린 아이들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람블편모충의 포낭은 물에서 3개월 이상 생존합니다. 이 병은 인수공통감염증(사람과 동물 간에 옮기는 병)으로 설치류, 사슴, 소, 양, 말 그리고 애완동물을 통해서 감염될 수 있습니다. 선진국에서도 감염률이 높아 미국에서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장내 기생충입니다.

 

특히 열대 지역의 후진국에서 감염률이 매우 높습니다. 여행자가타지에서 설사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상수도가 포낭으로 오염돼발생함으로써 수인성 전염병으로 지정돼 수질 규제기준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동성연애자와 AIDS 감염자에서 감염률이 높으며 여러 경로를 통해 경구감염될 수 있습니다.

 

⦁실험실감시 

질병관리본부는 2004년부터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과 공동으로설사증으로 병원을 찾는 설사 환자들에 대한 람블편모충 감염의 감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설사 환자의 약 1% 내외에서 검출되고 있습니다.

 

⦁사례조사 

세계적으로 환경위생 또는 기후조건 등을 고려한 대표적인 지역에서 조사된 포낭 검출률은 2~25%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에 4.9~13.1% 정도로 발생했으며, 1970년대 초반에 5.1~6.8% 정도의 포낭 양성률을 각각 보였으며 10세 이하에서 높았습니다. 1984년 경기도 및 전라북도 일원에서조사한 결과는 약 2.2%였습니다.

원인

람블편모충 영양형은 길이 9.5~21㎛m, 폭 5~15㎛, 두께 2~4㎛로서, 전방은 넓고 후방은 뾰족한 서양배 모양의 유원형입니다. 좌우 대칭이고 옆에서 볼 때 등 쪽이 볼록하게 나왔으며 배는 약간 굽어 들어간 모습입니다.

 

포낭은 4핵성이고8~12×7~10㎛ 크기의 난원형 내지 타원형입니다. 주요 기생 장소는 십이지장의 음와인데이에 근접한 소장 윗부분에서도 발견됩니다. 영양형은 설사변에서 발견되는 것이 보통이고 대장으로 내려가면피포되어 포낭이 됩니다. 이것을 사람, 원숭이, 돼지, 말 등이 먹고 감염됩니다.

 

⦁전파경로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전염은 감염된 사람의 대변에서 나온 포낭이 입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됨으로써 발생합니다. 양호시설이나 탁아소 등 배변 후 적절한 조치가 되지 않는 곳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집단 유행은 여과 과정을 거치지 않은 수돗물이 매개하여 일어납니다. 수돗물의염소 농도로는 포낭을 살균할 수 없습니다.

 

오염된 음식물에 의한 감염도 드물게 일어나고, 100개 정도의포낭이면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상수원의 분수계(분수령: 물이 서로 다른 수계로 흘러가는 유역의 경계)에 서식하는 감염된소, 개, 말 등에서 배설된 포낭이 상수원을 오염시키기도합니다.

 

⦁임상적특성 

설사가 지속되며 묽은 변으로 시작하여 점점 지방변이 됩니다. 지방변이생기면 냄새가 심해지고, 악취 가스가 발생합니다. 더불어식욕감퇴, 메스꺼움, 구토,윗배 팽만감 등이 생깁니다. 설사가 수개월 또는 수년간 지속하여 흡수 장애와 체중 감소가생깁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는 지방변 증후군(celiac syndrome)이생겨 식욕부진, 지방변 설사, 지속적인 탈수, 체중 감소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혈변이나 점액변은없습니다. 저감마글로블린혈증이나 분비성 IgA 결손 환자이외에 면역부전 환자에게는 중증 감염이 생깁니다.

진단

진단 방법으로 분변을 이용한 직접도말법, 포르말린-에테르 침전법(MGL), 면역형광항체법(IFA), 효소면역분석법(EIA),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 등이 있습니다.

치료

인체 감염은 주로 중간숙주인 패류(조가비를 가진 연체동물을 통틀어이르는 말) 또는 민달팽이를 날로 섭취함으로써 발생합니다. 하지만때로는 담수에 사는 새우, 게, 뭍에서 사는 플라나리아, 개구리 등과 같은 운반숙주를 통해서도 이루어지고 패류가 배출한 점액 속의 유충 또는 죽은 패류에서 나온 유충으로오염된 물 또는 야채 섭취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행지에서의 인체 감염은 주로 중요한중간숙주의 하나인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의 섭취 때문에 생깁니다.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