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벽증

정의

결벽증(강박장애)은 불안장애의 하나로서, 반복적이고 원하지 않는 강박적 사고(obsession)와 강박적 행동(compulsion)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잦은 손 씻기(hand washing), 숫자 세기(counting), 확인하기(checking), 청소하기(cleaning) 등과 같은 행동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강박적 사고를 막거나 그 생각을 머리에서 지우려고 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일시적인 편안함을 제공할 뿐 결과적으로 불안을 증가시킨다.

원인

과거 강박장애(결벽증)의원인은 심리학적 요인에 근거하여 설명하려는 노력이 많았으나 최근의 약물 연구 및 뇌 영상 연구의 결과들은 생물학적 요인이 강박장애 발생과 연관성이깊음을 보여주고 있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뇌의 대표적인신경 전달물질인 세로토닌 시스템과의 연관성이다.

 

임상 약물 실험 상 세로토닌 시스템에 작용하는 약물들이 강박장애 치료에 뚜렷한 효과가 있고, 다른 임상 연구 결과도 세로토닌 및 세로토닌 연관 물질과 강박장애 간의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많은 뇌 영상 연구가 강박장애에서 특정 신경회로 영역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약물치료 내지는 행동요법치료 후 이러한 영역의 문제가 정상화 됨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증상

전형적인 예를 들어보면 강박장애 환자가 침입자에 대한 강박적 사고가 있다면 침실에 들어가기 전 문이 제대로잠겼는지를 정상적인 수준 이상으로 여러 번 확인하는 경우이다. 흔한 강박적 행동으로는 손 씻기, 반복적인 확인, 순서대로 특정한 부분을 만지기, 숫자 세기 등이 있다.

 

흔한 강박적 사고로는 사랑하는 사람을 해치는 등의 지속적인 폭력적 사고,반복적인 성행위 관련 사고, 종교적 믿음에 반하는 사고 등이 있다. 강박장애 환자들은 종종 순서나 규칙성에 사로 잡혀 있는 경우가 많고, 불필요한물건들을 버리지 못하고 쌓아 놓는 경우가 흔하다.

진단

미국 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의정신장애 진단통계 편람(DSM-Ⅳ-TR)에 따른 진단 기준

 

1) 강박적 사고나 강박적 행동이 존재해야 한다.

 

2) 이 장애가 경과되는 도중 어느 시점에서 강박적 사고나 행동이지나치거나 비 합리적임을 인식한다.

 

3) 하루에 1시간이상 시간을 소모하는 강박적 사고나 행동은 심한 고통을 초래하거나 정상적인 일, 직업적(또는 학업적) 기능, 또는사회적 활동이나 사회적 관계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한다.

 

4) 다른 축 1의장애가 있다면, 강박적 사고나 강박적 행동의 내용이 그것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예: 섭식장애가 있는 경우 음식에 대한 집착, 발모광이 있는 경우 머리카락을 잡아 뜯음, 신체변형 장애가 있는경우 외모에 대한 관심, 물질사용 장애가 있는 경우 물질에 대한 집착,건강 염려증이 있는 경우 질병에 대한 심각한 집착, 변태성욕이 있는 경우 성적인 강한 충동이나환상에 대한 집착, 주요 우울장애가 있는 경우 죄책감의 반추)

 

5) 이 장애는 남용 약물, 치료약물과 같은 물질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강박적 사고(obsession)는 다음 1), 2), 3), 4) 항으로 정의된다.

1)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사고,충동, 또는 심상

이 주요 증상은 장애가 경과하는 도중 어느 시점에서 침입적이고 부적절한 것으로 경험되며, 현저한 불안이나 고통을 일으킨다.

 

2) 사고, 충동, 심상은 실생활 문제를 단순히 지나치게 걱정하는 것이 아니다.

 

3) 개인은 이러한 사고, 충동, 심상을 무시하거나 억압하려고 시도하며 다른 생각이나 행동에 의해 중화하려고 한다.

 

4) 개인은 강박적인 사고, 충동, 또는 심상이 개인이나 개인 자신의 정신적 산물임을 인정한다. (사고주입의 경우처럼 외부에서 강요된 것이 아님)

 

강박적 행동(compulsion)은 다음 1), 2)항으로 정의된다.

1) 손씻기, 정돈하기, 확인하기 등과 같은 반복적인 행동 또는 기도하기, 숫자세기, 속으로 단어 반복하기 등과 같은 정신적인 반복 활동

이러한 증상은 개인의 강박적 사고에 대한 반응으로, 엄격하게적용되어야 하는 원칙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는 압박감을 동반한다,

 

2) 강박적 행동이나 정신적 활동은 고통을 예방하거나 감소하고, 두려운 사건이나 상황을 방지하거나 완화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행동이나 정신적 활동이 중화하거나 방지하려고 하는 것은 현실적인 방법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명백하게 지나친 것이다.

치료

강박장애의 효과적 치료는 약물치료와 인지 행동 치료이다. 강박장애의약물치료는 많은 임상 연구에서 효과가 입증이 되었다. 현재 대표적인 약물은 SSRI(serotonin-specific reuptake inhibitor)이다. 일반적으로 4~6주에 효과가 나타나고 최대 8~16주에 나타난다.

 

같은 계열에 다양한 약물이 존재하고 개인에 따라 약물 반응 및 부작용 발생에 차이가 있어 인내를 가지고약물 치료에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강박장애 환자가 치료에 저항을 보여 치료를 포기하거나 불충분한치료를 받는 경우가 흔하다.

 

연구 결과를 보면 약물에 호전을 보이는 경우가 1/2~3/4정도가된다. 약물치료와 더불어 행동요법 등의 정신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 행동요법으로는 탈감작(Desensitization), 노출 및 반응제어(exposure & response prevention) 등의 기법이 활용된다.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