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삭스병

정의

강글리오시드(ganglioside, 주로 신경절에서 볼 수 있는당지질) 축적 질환은 크게 GM1과 GM2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뉩니다. 모든 강글리오시드증(gangliosidosis)에서는 신경세포 내의 강글리오시드 축적으로 말미암아 핵은 말초부위로 밀려나고, 거대 신경세포라 불리는 세포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팽윤(부피가 늘어남)이 일어납니다.

 

축적물은 세포 내의 리소좀(가수 분해 효소를 많이 함유하여 세포내 소화작용을 하는, 단일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의 작은 기관)에포함됩니다. 강글리오시드증은 발병하는 연령에 따라 유아형, 유년형, 성인형으로 나뉩니다.

원인

현재까지는 3개의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결핍이 GM2 강글리오시드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개의 유전자중 2개는 GM2에서 단지 촉매역할을 하는 폴리펩타이드와관련된 것입니다. 헥소사미니다제 A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은폴리펩타이드 α이고, 헥소사미니다제 B가 관여하는 것은 폴리펩타이드 β입니다.

 

두 개 효소 모두 말단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의 가수분해에 의해 GM2에 작용합니다. 테이-삭스병 환자에게는 헥소사미니다제 A가 결핍되어 있습니다. 헥소사미니다제 A는 15번 염색체의 장완 23-4에위치하며 90개에 가까운 돌연변이가 확인되었습니다. 3개의돌연변이가 유대인에게 자주 발견되며, 이외의 인종에서는 좀 더 다양한 돌연변이 양상이 발견됩니다.

증상

유아형은 생후 6개월 정도에 큰 소음에 과장된 반응을 보입니다. 손을 뻗는 것과 앉기와 같은 동작은 가능하지만, 생후 1년이 되기 전에 점차 이러한 발달이정표를 잃어버리게 됩니다. 또한산만한 안구 운동과 함께 시각의 주의력을 잃어버리는 것이 초기에 나타납니다. 그리고 테이-삭스병과 샌드호프(Sandhoff)병에 걸리면 안저(눈바닥)검사 결과 전형적인 황반 앵두반점이 나타납니다. 생후 1개월 후에는 경련, 연하장애(삼킴곤란), 발작을 보입니다.

 

전형적으로, 생후 2년동안 대두증이 나타납니다. 이것은 대뇌의 백질 부분이 부풀기 때문입니다. 흔히 흡인성 폐렴으로 2세에서 4세사이에 사망하기도 합니다. 후기 발병형 GM2 강글리오시드증은주로 헥소사미니다제 A(Hex A) 효소의 결핍으로, 유년기의 GM2 강글리오시드증은 헥소사미니다제 A의 결핍으로 각각 생기며 2세 혹은 그 이후에 실조증과 치매가 발생합니다. 황반 앵두반점은아주 소수의 환자에게서만 관찰됩니다.

 

성인형도 존재하는데 성인형에서는 정신병, 근긴장이상, 대뇌의 실조증, 척수전각 질환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성인의 헥소사미니다제 A, B의 결핍은 척수소뇌의 질환 증상을 나타냅니다. B1 변이는 전형적인 테이-삭스병의 증상과 비슷하며, 유년기에 퇴행성 신경질환으로 나타나고, 유아형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황반 앵두반점도 후기 발병형의 후기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GM2 활성화 단백질의 결핍은 고유한테이-삭스병이나 후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황반 앵두반점은 진단에 유용하지만, 니만-피크(Niemann-Pick)병과GM1 강글리오시드증에도 나타나기 때문에 특이적이지는 않습니다. 소변으로 올리고당이 배출되는것은 샌드호프병에서는 비정상적이지만 테이-삭스병에서는 정상적입니다. 피부조직생검을하면 층판체(lamellated body)가 축적되어 있는 것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진단법은 인공적인 효소발광 이나 특수 기질을 사용해 헥소사미니다제 A에 대한 잔류 효소활성 측정을 하는 것입니다.

치료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없는 실정입니다. 증상에 맞추어 경련 시에는항경련제를 사용하고, 근무력증이 심해서 기도 확보가 어려울 때는 인공기도삽관을 시행합니다. 약물 요법으로 Zavesca (Miglustat)가 강글리오시드증의조직 침착의 진행을 막아준다는 보고가 있지만 확립된 치료 방법은 아닙니다.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