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골외배엽성이형성

정의

엘리스-반 크레벨트 증후군 또는 연골외배엽 이형성증은 출생 시부터골격의 발육 부전으로 불균형적인 왜소증, 짧은 사지와 다지증, 외배엽이형성증, 짧은 늑골로 인한 작은 흉곽, 손발톱과 치아의발육 부전, 높은 빈도의 선천성 심장기형 등의 특징을 보이는 아주 드문 유전 질환이다.

 

이 증후군은 1933년McIntosh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1940년 영국의 Richard Ellis와 네덜란드의 Simon van Creveld의이름을 따서 엘리스-반 크레벨트 증후군으로 명명되었다. 발생빈도는 60,000명 출생 당 1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고 미국 펜실베니아주 랭카스터 지방의 아미쉬 구교도들에서는 1,000명 출생 당 5명으로 추정되고, 보인자의 빈도는13%에 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남녀간 발생 빈도의 차이는 없다.

원인

엘리스-반 크레벨트 증후군은 상염색체열성으로 유전되며, 염색체 4번 단완 p16에위치하고 있는 EVC1과 EVC2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발생한다. 유전자의 기능과 발병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연구가 진행 중이다.

증상

엘리스-반 크레벨트 증후군은 여러 장기를 침범하여 다양한 임상증상으로 보인다. 신생아기에 출생시부터 작은 신체 크기, 성장지연, 골격계 기형이 초기 증상으로 나타나며, 생치가 동반될수 있다. 특징적인 4가지 임상 증으로 연골이영양증, 다지증, 외배엽 이형성증, 심장기형이 있다.

 

엘리스-반 크레벨트 증후군의 골격계 증상에는 사지의 단축과 짧은갈비뼈, 다지증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연골이영양증은 장골에가장 흔히 나타나는데 출생시부터 나타나는 특징적인 불균형적인 왜소증으로 평균 성인 신장이 109-155 cm에불과하며, 사지의 원위부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며 점점 진행한다.

 

다지증은 양측성으로 나타나며 대부분 손에서 발생하고 발에서는 10% 정도에서동반된다. 특히 새끼손가락 옆에 손가락이 더 있으며, 짧고평평한 중지절과 외반슬이 동반된 경골 상부 측면의 형성 부전, 만곡족이 동반된다. 발한성 외배엽 이형성증은 93%의 환자에서 동반되는데 손톱의 이형성으로쉽게 부서지고 치아의 저형성으로 비정상적인 모양과 부정 교합이 발생한다. 머리카락은 드문드문하다.

 

심장 기형은 50% 정도의 환자에서 동반되는데 가장 흔한 기형은공통 심방 (40%)이며 다른 기형으로는 방실관 결손, 심실중격결손, 심방중격결손, 동맥관 개존증이 있다. 심장 질환으로 인해 성장 부전, 청색증, 호흡 곤란, 심잡음 등의 심부전 증상이 나타난다. 심장 기형은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두개 안면의 특징으로 정상적인 머리 크기를 보이나 입술과 잇몸의 주름띠,잇몸 비대, 출생 시에 이미 치아가 나 있으며, 작은치아, 부분적인 무치증, 에나멜 저형성과 치아 저형성을 보이며, 이가 늦게 난다.

 

다른 근골격계 기형으로 흉곽의 이형성, 짧고 발달이 미숙한 늑골로좁은 흉곽이 동반되어 호흡 부전이 발생하고, 선천성 심장 기형이 동반되면 영아기에 50% 정도의 환자는 사망한다. 영아기를 넘긴 환자들은 정상 수명으로보인다.

 

요로계 기형으로 요도상열, 요도하열, 잠복고환, 신석회화증, 신무형성, 거대 요관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지능은 대개 정상이며간혹 댄디-워커 기형(Dandy-Walker malfomation)과같은 중추신경계 기형과 발달 지연이 동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사시,척추전만증, 넓은 손과 발, 소시지 모양의 손가락이나타난다.

진단

특징적인 임상 증상으로 진단할 수 있다. 확진은 EVC1과 EVC2 유전자 분석으로 돌연변이를 발견함으로써 진단할수 있다. 골격 X-선 검사를 시행하여 사지의 원위부가 짧아져있고 다지증, 손목뼈의 다양한 융합, 외반슬, 짧은 늑골과 좁은 흉곽을 보인다. 골반 X-선 검사에서 짧은 장골 날개와 돌기 모양의 골반 기형이 나타난다.

 

심장 기형을 평가하기 위해 흉곽 X-선 검사, 심전도, 심초음파를 시행한다. 드물지만중추신경계 기형과 신장 기형을 평가하기 위해 뇌의 MRI 검사와 신장 초음파를 시행한다. 조직병리학적 검사로 장골의 연골 세포 파괴를 증명할 수 있다. 산전초음파에서는 자궁내성장지연, 골격계 기형, 현저하게 짧은장골, 작은 흉곽, 심장 기형이 나타난다.

치료

각각의 임상 증상에 따라 임상유전학, 심장, 호흡기, 정형외과, 비뇨기과, 치과, 재활의학과, 정신과, 신경과 등 각 전문과의 진료가 필요하다. 신생아기에는 호흡 부전과심부전에 대한 대증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반복적인 호흡기 감염에 대해 항생제 치료를 시행한다.

 

치과적인 치료로 구강을 청결히 관리하여 충치를 예방하고 임플란트나 의치가 필요한 경우 시행한다. 신생아 치아는 수유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발치해야 한다. 수술적인치료로 다지증 등 골격계 기형에 대한 정형외과적 치료, 심장 기형에 대한 흉부외과적 수술, 잠복 고환, 요도하열 등에 대한 비뇨기과적 치료 등이 필요하다. 왜소증에 대한 성장 호르몬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