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의료 교류, 전염병부터 잡는다

[사진=Manjurul Haque/shutterstock]
10년 만에 남북 의료 교류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되며, 전염병(감염병) 대응을 중심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은 15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고위급 회담을 열고 “전염성 질병의 유입 및 확산 방지를 위한 남북 보건의료 분과 회담을 10월 하순경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선 전염성 질병 공동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논의를 개시하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단계적으로 남북 보건의료 협력 방안을 모색해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그간 남북 보건의료 협력 전문가의 공통된 의견이기도 했다.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지난 5월 “남북 간 인적 교류가 활발해지면 남한의 감염병이 북한에, 북한의 감염병이 남한에 전파될 수 있다”고 말했다. 조원준 더불어민주당 보건의료전문위원도 “남북 교류에서의 혼란을 최대한 방지하며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감염병 문제 먼저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은 전체 사망 원인 중 감염병에 의한 사망이 30%가 넘는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말라리아와 결핵이다. 국내 말라리아 위험 지역은 경기, 인천, 강원 등 모두 휴전선 접경 지역이다. 북한은 백두산 지역을 제외하고 모두 말라리아 위험 지역이다.

결핵은 남북한 모두 많은 감엽병이다. 우리나라는 34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결핵 환자 비율이 가장 높다. 북한 결핵 환자 수는 약 13만 명으로 남한의 3배를 넘는다, 게다가 최근 북한에서는 다제 내성 결핵을 비롯한 항생제 내성균 환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뚜렷한 대책 없다.

특히 북한에서 감염병 문제가 심각한 것은 감염병 발생 시 감염원, 감염 경로 등 감염의 연결 고리를 차단하는 게 어렵기 때문이다. 감염원의 조기 적발이 어려워 감염 경로에 있어 중요한 환자와 보유자에 대한 대책이 불가능하다. 감염 연결 고리가 조기에 차단되기 어려우니 확산은 빠르고, 열악한 위생 환경 등 때문에 해결 속도는 더디다.

하지만 북한의 감염병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전우택 통일보건의료학회 이사장은 “남북은 서로에게 보건의료적인 면에서 취약 지역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남한의 감염병 또한 북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 바 있다.

우리나라는 항생제 사용이 높아, 항생제 내성을 가진 세균도 많은 상태인데, 북한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또 상대적으로 외국 방문과 교류가 훨씬 많아 외국에서 질병에 걸린 후 귀국해 감염병을 전파할 확률도 높다. 아직 보건의료 인프라나 위생 환경이 따라주지 못하는 북한에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연희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