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전문가의 경고 “한국 제약 기업 걱정된다”

[바이오워치]

[사진=bagotaj/gettyimagesbank]
글로벌 신약 개발 트렌드 중 무섭게 떠오르고 있는 것이 바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개발이다. 글로벌 제약사와 바이오 벤처가 인공지능 신약 개발에 뛰어드는 이유는 명확하다. 비용과 시간은 줄어들고 생산성은 높아지는 등 효율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실제로 15일 서울 코엑스에 모인 신약 개발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이 점을 강조했다.

인공지능을 약물 개발에 적용한 최초의 회사 중 한 곳인 뉴메디에 몸 담고 있는 마이클 재뉴지크(Michael Januszyk) 바이오 메디 정보 책임자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약물 개발 실패율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용 절약이 가능하다”며 “특히 10년 50억 달러(5조 6685억 원)가 소요되던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10분의 1 정도로 줄일 수 있어 전 세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앤드류 라딘(Andrew Radin) twoXAR 공동 창업자는 “그 동안 신약 개발 프로세서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다”며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속도, 품질, 예측을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하고 비용은 절감되는 등 효율성이 개선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현진 신테카바이오 박사도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신약 개발 생산성이 향상된다. 지금까지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물질을 발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며 “인공지능 신약 개발에 많은 전문가는 사람의 선입견에 기반을 두지 않은 새로운 후보 물질 발견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효율 향상을 가져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기존 신약 개발은 잠재 고객(환자)이 적은 희귀 질환에 대해서는 투자비 회수 등의 이유로 개발 후순위로 밀어냈었지만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이런 문제가 해소돼 글로벌 제약사 등이 희귀 질환 치료제 개발에 적극 뛰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인공지능을 활용하거나 도입 면에서 속도를 내지 못하는 한국 상황에 대해서는 기업과 정부의 인식 전환을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양현진 신테카바이오 박사는 “인공지능 기반 신약 개발은 인공지능을 개발할 수 있는 인력도 중요하지만 제약사의 사고 전환이 선행되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양 박사는 “인공지능 플랫폼은 개발 업체가 제약사에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니라 제약사와 함께 하는 콜라보 형태라고 이해해야 한다”며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데이터 생산 등 검증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상옥 스텐다임 대표도 “인공지능은 현재의 기술과 시점에 정답을 주는 마술이 아니다. 어떤 문제를 풀고 싶은지 제약사와 인공지능 개발 업체 간의 대화가 필요하다”며 “한국 기업은 내부 인공지능 전문가가 부족하기도 하지만 의사 소통에도 문제가 있어 왔다”고 말했다.

과거 한국 제약사는 인공지능 신약 개발은 컴퓨터만 돌리면 되는 것이라는 인식이 컸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지만 1~2년 전만 하더라도 인공지능을 제공해 원하는 타깃이나 약에 대한 정보가 안 나오면 돈을 지불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을 정도.

송상옥 대표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때 인공지능을 활용한 모델을 만드는 것은 국내에서 선례가 없었던 상황이라 창의적인 사고 전환이 필요하다”며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대가와 효율성을 따져보고 이에 대한 값을 어떻게 매길지 고민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라딘 twoXAR 공동 창업자는 “한국 제약사가 인공지능을 도입하려면 기업 자체가 역량을 갖고 있는지, 아웃소싱 의지가 있는지가 중요하다. 기존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새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적극적으로 인공지능을 받아들이는 제약사는 발전 가능성이 많겠지만 반대로 변화 흐름을 따르지 못하는 제약사는 도태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귀도 란자(Guido Lanza) 뉴머레이트 대표는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귀도 란자 대표는 “우리 회사의 경우 전임상에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다. GSK와 국립암센터와 협업을 하고 있다”며 “규모가 작은 회사의 경우 돈도 부족하고 데이터도 없기 때문에 정부가 도와줘야 한다. 중국의 경우처럼 한국 정부도 데이터 풀을 만드는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송영두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