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가루 알레르기, 벚꽃축제 가도 되나요?

‘알레르기’라는 말은 어떤 물질에 대한 과민반응을 말하는 것으로 외부물질에 대한 인체의 면역반응 결과로 나타나는 증상을 총칭한다. 특정한 질환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알레르기 면역반응이 관여하는 피부질환을 포함하는 용어다.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동물털, 곰팡이, 곤충, 음식물 등 우리 주변에 흔히 있는 물질에서 반응할 수 있다. 공기가 따뜻해지고 꽃이 피어나는 봄에는 꽃가루 알레르기를 주의해야 한다.

벚꽃축제 가도 되나요?

꽃가루 알레르기는 나무, 화초, 잡초 등 어느 식물이든 원인이 될 수 있다. 꽃은 매년 일정한 시기에 피는데 봄에 피는 꽃은 대부분 나무의 꽃이다. 꽃가루가 원인이 된다고 하면 흔히 벚꽃, 개나리, 진달래, 목련 등 향기롭고 아름다워 봄을 대표하는 꽃을 생각한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꽃은 벌이나 나비가 직접 암술과 수술의 꽃가루를 섞어주므로 공기 중에는 꽃가루가 잘 날리지 않아 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경우는 흔치 않다.

꽃가루 알레르기 주범은 ‘풍매화’

풍매화는 바람을 이용해 꽃가루받이하는 식물을 말한다. 풍매화는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어 바람에 의해 꽃가루가 공중에 날려야 수정이 된다. 이때 날아간 꽃가루를 알레르기 체질인 사람이 코와 기관지로 들이마실 경우 알레르기 면역반응을 일으켜 알레르기 결막염, 알레르기 비염, 기관지천식의 원인이 된다. 봄철에는 특히 나무의 꽃가루가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오리나무, 소나무, 느릅나무, 자작나무, 단풍나무, 버드나무, 참나무 등의 꽃가루가 알레르기의 주범이다.

공기 중의 털 뭉치 잘못 없다

봄철에 날아다니는 하얀 털들은 씨에 붙어있는 털일 가능성이 큰데, 이들이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이라고 오해를 사고 있다. 버드나무, 사시나무, 플라타너스 나무의 종자에는 바람에 씨가 잘 날리도록 털이 붙어 있다. 봄철에 털이 솜뭉치를 이루면서 거리 곳곳에 뒹굴어 다니다가 코로 들어오거나 눈에 들어가기도 한다. 그러나 이 씨 털은 꽃가루가 아닐 뿐만 아니라 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지도 않는다. 실제 증상을 일으키는 꽃가루는 크기가 매우 작아 육안으로는 확인이 어렵다.

꽃가루 알레르기 증상

알레르기 비염은 물처럼 줄줄 흐르는 콧물이 계속 나오고, 재채기가 끊이지 않으며 코가 가렵고 막힌다. 코 관련 증상은 대부분 발작적으로 생기며 발작이 지나가면 비교적 잠잠해지는데 주로 아침 기상 후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으로는 기관지천식이 있다. 기관지천식은 폐로 공기를 들여보내는 기관지가 염증반응을 일으켜 막히는 병인데 3대 증상은 기침, 천명(숨을 쉴 때 “쌕쌕” 하는 소리가 나는 것), 호흡곤란 등이다. 심한 천식 발작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응급조치를 취하여야 하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생명을 잃을 수 있다. 꽃가루도 천식 악화를 촉발하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꽃가루를 멀리하라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는 가장 먼저 꽃가루를 멀리 해야 한다. 우선 원인 꽃가루를 정확히 확인하고 해당 꽃가루가 날리는 계절에는 외출을 삼가고 방문은 잘 닫아 외부에서 꽃가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 외출할 때에는 미세먼지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헝겊으로 만든 일반 마스크로는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한 꽃가루를 제거할 수 없다는 점을 유의하자.

약물치료와 면역요법

알레르기 염증이 발생했다면 약물치료가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다. 꽃가루에 의한 알레르기는 기관지천식,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결막염 등 침범하는 장기에 따라서 증상이 다르므로 각 증상에 맞는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이러한 약물치료는 근본적으로 알레르기 체질을 바꾸는 것은 아니라 중단할 경우 증상이 재발할 수 있다.

약물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했다면 면역요법을 시도해볼 수 있다. 면역요법은 알레르기 물질을 기억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우리 몸의 면역세포를 다시 노출되어도 반응이 생기지 않도록 재교육하는 것이다. 서울대병원 알레르기내과 강혜련 교수는 “면역요법은 화학약품이 아니므로 안전하고 장기간 지속해도 별다른 부작용이 없다”며 “일부 환자에서는 효과가 없을 수 있고, 효과가 있더라도 3~5년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PhotoMediaGroup]

    연희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