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조기발견하면 완치율 높아…식습관 개선 중요

-위암은 사망률 높은 암 3위

-짜고 탄 음식,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등이 원인

-복강경‧로봇 수술 발달로 환자 부담 줄어

밥만 먹으면 속이 더부룩해지고 집중력이 떨어진다는 사람들이 있다. 소화불량이나 속 쓰림을 달고 사는 사람들이다. 이는 모두 위가 보내는 위험 신호다. ​한국인은 위암에 취약하다. 발생빈도도 높고 사망률 또한 높다. 왜 한국인은 유독 위암 발병류이 높을까?

우리나라의 위암 발병률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해마다 인구 10만 명당 50~60명의 위암 환자가 발생하는 ‘위암 발병률 세계 1위’다. 미국 발병률의 10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위암은 국내 암 발생률 순위에서 항상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2015년도 진료비 심사실적 통계’에 의하면 가장 많은 입원 치료를 받은 암이 위암이었다. 위암으로 입원 치료를 받은 인원은 4만597명이고, 1인당 진료비는 687만 원이었다. 또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위암으로 사망한 환자가 전체 암 환자의 11.6%로, 3위를 기록했다.​

위암은 위 안쪽의 말랑말랑하고 매끄러운 점막에 생기는 암이다. 위 점막 세포가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고 손상돼 위 점막이 위축되거나 위 점막 세포가 소장이나 대장의 점막 세포와 비슷한 모양으로 바뀌면서 위암으로 진행된다.

즉 만성위축성위염이나 장상피화생의 과정을 거쳐 위암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또 위에 생긴 양성 종양세포가 점점 암세포를 닮아가는 이형성 단계를 거쳐 위암이 되기도 한다.

위암의 전조증세는 속쓰림이나 소화불량 정도로 위궤양이나 위염 증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조기 위암은 증상이 거의 없다. 위암이 진행되면 체중이 감소하고 복통, 오심과 구토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이외에도 식욕이 떨어지고 윗배가 더부룩한 증상을 보인다.

​식사 후 상복부가 거북하고 불쾌하거나 명치끝이 아플 수도 있다. 공복 시나 식후에 속이 쓰리기도 한다. ​심하면 음식을 삼키기 곤란하고 피를 토하거나 혈변, 흑변을 보게 된다. 배에 혹이 만져지거나 황달이 올 수도 있다.

위암이 생기는 이유는 잘못된 식사습관과 유전적인 요인이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장채소나 염장생선 같은 짠 음식이나 불에 태운 음식, 맵고 뜨거운 음식, 술, 담배가 위암의 위험도를 높인다.

또 햄이나 소시지 같은 가공육류, 훈제식품에 들어있는 질산염화합물 또한 위암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식품들이 위 점막을 자극해 염증을 일으키거나 발암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암을 예방하려면 식생활 개선이 필수다.

​이외에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위암 가족력, 과거 위 수술 경험, 만성위축성위염, 폭음, 스트레스 등이 위암 발병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80~90% 이상의 완치율을 보이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40세 이후부터는 별다른 증상이 없더라도 1~2년에 한 번은 위 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건강보험공단에서는 40세 이후부터 2년마다 위 내시경검진을 의무적으로 받도록 하고 있으나 대한위암학회에서는 1년에 한 번씩 내시경 검사를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위암의 치료는 병의 진행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조기위암 중에서 암이 크지 않고 암세포의 분화도가 좋으며 암의 침윤도가 위의 점막층에 국한된 경우에는 내시경으로 절제할 수 있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위장관외과 김진조 교수는 “조기위암이라고 하더라도 위의 범주에 들지 않는 경우에는 림프절 전이의 위험성이 많게는 20%까지 있을 수 있어 림프절절제술을 포함하는 위절제술을 시행해야 한다”며 “암의 침윤도가 근육층을 넘어선 진행성 위암의 경우에는 D2 림프절절제술을 포함하는 위절제술을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복부 절개 없이 작은 구멍을 뚫고 수술 도구를 넣어 진행하는 복강경 수술이나 로봇수술이 발전해 환자의 수술적인 부담이 많이 줄어들었다. 수술 후 통증도 적고 회복이 빠르며 미용적으로도 우수하다.

[사진출처 : 아이클릭아트]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