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데이터-AI 인프라, 신약 개발 성공률 높여”

국내 제약사들이 보건 의료 빅 데이터와 인공지능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해 신약 개발의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4일 서울 방배동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4차 산업 혁명을 선도하는 제약 산업’이라는 주제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제약바이오협회 배영우 R&D정책위원회 4차 산업 전문위원이 이같이 밝혔다.

배 위원은 “최근 세계적으로 인공지능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국내 제약사도 공동 사용이 가능한 인공지능 인프라를 구축해 신약 개발에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글로벌 대형 제약사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약 개발에 착수해, 환자의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여 성공률과 수익성을 제고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방대한 데이터를 취합 및 분석하고 이를 특정 후보 물질의 화학적 특성을 예측하고 또 임상 시험 설계를 최적화하는 신약 개발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 화이자제약의 경우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플랫폼 IBM 신약 탐색용 왓슨을 도입해 면역 항암제 분야에 적용해 항암 신약 연구 개발에 착수했다. 이스라엘의 테바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호흡기 및 중추 신경제 질환 분석 및 만성 질환 약물 복용 후 분석 및 신약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존슨앤존슨은 인공지능 업체와 새로운 임상 단계 약물 후보 물질에 대한 독점 라이센스를 체결하는 한편, 인공지능을 활용해 후보 물질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대형 제약사를 중심으로 보건 의료 빅 데이터 활용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 개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신약을 개발하는 벤처 기업까지 등장한 상황이다.

배 위원은 “국내 제약사는 신약 연구 개발 투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매출액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 연구 개발비가 낮은 수준”이라며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해 신약개발 과정 간소화, 비용 절감 및 선택 비용의 감소를 통해 신약 개발 성공률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배 위원은 “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용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해 국내 제약사들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보건의료 빅 데이터 산업계 개방과 인공지능 신약 개발 지원 센터에 대한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송영두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