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틱 장애…저학력자일수록 민간요법 의존

ADHD(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증후군)나 틱 장애와 같은 소아 정신 질환에서 치료법의 선택은 부모의 경제력이나 학력 수준과 관련이 깊다고 한다.

지난 5월 미국 NBC 뉴스는 소아과학지회지 최신판을 인용해, ADHD 아동 가운데 흑인이나 히스패닉계 아이들이 백인 아동에 비해 약물 치료를 조기에 중단하는 경우가 많고, 민간요법을 전전하다가 결국 치료를 중단하게 되는 비율도 높다는 소식을 전한다. 국내 전문가도 경제 수준이 낮거나 학력 수준이 낮은 부모가 약물 치료나 상담 대신 대체 의학이나 민간요법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고 입을 모은다.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것에 전문가들은 3가지 정도의 분석을 내 놓는다.

첫째, 고학력자일수록 현대 의학과 과학에 대한 믿음이 강하다는 것이다. 학력이 높은 부모일수록 최신 의학에 대한 지식을 직접 찾아보는 경향이 많고 단지 주변 사람의 말에는 귀를 덜 기울인다는 것이다. 저학력자의 경우 스스로 지식을 찾아보기보다는 주변의 입소문에 영향 받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둘째, 고학력자일수록 합리적인 사고를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들은 당뇨나 암을 완치할 수 있다는 광고에 솔깃하지 않으며, 약 없이 ADHD 치료가 가능하고 빨리 치료하면 틱 장애가 예방 가능하다는 광고를 보고 왜 다른 나라에서는 불가능한 것이 우리 동네 병원 한군데에서만 가능한지 합리적인 의문을 품는다.

셋째, 저학력자들이 ADHD나 틱 장애 같은 소아 정신 질환에 대해서는 다른 신체 질환과 다르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과학이 발달하기 전 인류의 조상들은 정신의 병이나 육체의 병 모두 신이 노한 것이라 생각해서 신에게 용서를 비는 기도를 하거나 풀뿌리를 찧어서 먹었다. 의학이 발달하면서 육체의 병이 신이 노한 것 때문이 생긴 것이 아니라는 인식이 생겼다.

하지만 정신의 문제에 관해서는 신체의 일부인 뇌의 생화학적 문제에 의해 생겼다고 생각하기 보다는 영적이거나 가족적인 문제로 생각하는 경향이 아직도 남아있는 편이다. 최근에는 성인의 우울증이나 공황장애 같은 질환에 대해서는 뇌의 질환이라고 인식이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나 마지막 남은 ADHD, 틱 장애 같은 소아 정신 질환 영역에서만은 아직도 뇌의 질환이라는 인식보다는 부모 탓 또는 교육 제도의 탓이라는 인식이 깊게 남아있다.

넷째, 학력이나 경제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ADHD의 낙인이나 편견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크기 때문이라고 한다. 최근 소아정신과를 찾는 사람 가운데 기록이 남는 것이 두려워서 비보험으로 처리하는 사람이 일부 있는데 예상외로 저소득층, 저학력층이 많다고 한다.

고학력자는 정신과 기록이 외부로 전혀 유출되지 않음을 믿는데 반해 저소득층은 살면서 자주 억울한 일을 당해왔기 때문에 국가 정책에 대한 불신이 높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제약회사나 의사들이 부작용을 숨기고 있다는 불신도 많기 때문에 오직 주변 사람이 다녀왔다는 곳만을 믿으려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들이 믿는 주변 사람도 똑같이 저학력층인 경우가 많아 스스로 유명하고 실력 있다는 광고를 많이 하는 곳을 찾게 된다고 한다.

ADHD, 틱 장애 같은 소아 정신 질환을 연구하는 전문가들은 가난하고 못 배운 부모가 아이들은 제대로 치료하지 못해 가난이 대물림되는 현상을 막는 사회적 계몽 운동과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코메디닷컴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