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수건, 물티슈 또 논란 “손씻기가 최고”

물수건, 물티슈 사용이 꺼림칙하다면 번거롭더라도 직접 손을 씻는 것이 최선의 방책인 것 같다. 시중에서 사용중인 물수건, 물티슈의 위해성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음식점 등 식품접객업소에서 사용 중인 물수건 4개 중 1개는 법적 허용 기준 이상의 일반세균에 오염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개중엔 허용 기준의 1000배나 오염된 것도 있었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이 수원 등 경기도내 18개시의 식품접객업소와 물수건위생처리업소에서 수거한 물수건 94건의 위생 상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이 7일 전했다. 물수건의 미생물 오염도를 보여주는 잣대인 일반세균수의 법적 허용 기준은 물수건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상대적으로 작은 1호는 10만마리 이하, 2호는 15만마리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이번에 검사한 물수건 95건 중 24건(25.4%)이 법적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수건 1호는 검사한 74건 중 18건(24%)이 허용 기준을 넘어섰다. 이 물수건의 일반세균수는 73만-1억마리에 달했다. 허용 기준을 최대 1000배나 초과한 셈이다. 물수건 2호는 검사한 19건 중 11건(57.9%)이 허용 기준을 초과했으며, 이들의 일반세균수는 240만∼890만마리였다.

물수건의 일반세균 오염도는 손님과 직접 만나는 식품접객업소에서 훨씬 높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식품접객업소의 일반세균 기준 초과 검출률이 40%로 물수건 위생처리업소(5.1%)보다 8배나 높았다”며 “위생처리업소에서 식품접객업소로 유통되는 과정에서 시간 지연 등이 큰 이유일 것”으로 판단했다.

물수건의 일반세균 오염도는 물수건의 포장 상태에 따라서도 최대 16배의 차이를 보였다. 일반세균 기준 초과 비율은 밀봉 포장한 물수건에서 가장 낮았고(2.7%) 다음은 낱개 포장(21.8%), 개봉 포장(32.8%), 덕용 포장(43.8%, 여러 개를 묶어서 포장) 순이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위생적으로 세탁된 물수건이라 해도 개봉이나 덕용 포장의 경우 교차오염을 통해 쉽게 일반세균 등 미생물에 오염될 수 있다”며 “미생물의 오염 방지를 위해선 물수건을 낱개로 밀봉 포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검사에선 물수건에서 분변 오염의 지표 세균인 대장균은 한 건도 검출되지 않았다.

물수건 소독에 사용되는 염소화합물에서 유래되는 클로라이트, 클로레이트 등 부산물은 88건 중 17건(19.3%)에서 검출됐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클로라이트, 클로레이트 등 염소 부산물의 잔류량을 줄이려면 물수건을 염소 소독한 후 반드시 헹굼 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물수건 위생처리업체에서 염소 소독을 할 때 기준인 ‘유리 염소 250ppm 이상 첨가’ 규정을 더 구체적으로 설정해 염소의 과량 사용을 막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가습기살균제 등 유해물질이 함유된 물티슈가 여전히 유통되고 있다며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순례 의원은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지난 2014년 가습기살균제 충격에 이어 유아용 물티슈에서도 가습기살균제 물질이 검출됐다는 사실이 밝혀져 리콜사태가 벌어지는 등 그 여파가 상당했다”며 “이후 물티슈의 주무 부처는 기술표준원에서 식약처로 변경됐고, 식약처의 화장품 관리기준에 따라 이제 더 이상 물티슈에는 가습기살균제 물질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이 식약처의 입장”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식당용 물티슈는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많이 사용하지만 여전히 관리 사각지대”라면서 식약처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김용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