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병 든 한국…골다공증 미국인의 2~4배

 

우리나라 50대 이상 여성의 골다공증 발생 위험이 같은 연령대의 남성에 비해 6배 가까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한 같은 연령대 미국 여성에 비해 4배나 높았다.

을지대 간호학과 조동숙 교수팀이 질병관리본부가 수행한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해 50세 이상 남녀 6706명(남 3071명, 여 3635명)의 골다공증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여성이 40.1%로 남성( 7%)에 비해 5.7배나 높았다고 17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이 전했다.

조동숙 교수팀은 “우리나라 50대 이상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같은 연령대 미국 여성(10%)에 비해 4배나 높았고 일본 여성보다 높았다”며 “50대 이상 남성도 같은 연령대 미국 남성보다 골다공증 유병률이 2배가량 높고 중국 남성과 비슷했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50대 이상 남녀 모두가 골다공증에 취약한 상태라는 것이다.

비만이거나 키 크면 골다공증 덜 걸려

체중과 키도 골다공증 발생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 교수팀은 비만의 척도인 체질량지수(BMI)를 기준으로 50대 이상 남녀를 정상체중ㆍ저체중ㆍ과체중 그룹으로 분류한 뒤 각 그룹별 골다공증 발생 위험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각자의 체중(㎏)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인 BMI가 25 이상이면 과체중ㆍ비만, 20~24이면 정상 체중, 20 미만이면 저체중으로 판정했다.

그 결과 저체중 남성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정상체중 남성보다 4.3배(여성 4.6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체중ㆍ비만 남성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정상 체중 남성의 1/4 수준이었다(여성 1/2 수준). 조 교수팀은 “비만한 사람의 골다공증 유병률이 낮은 것은 체중이 뼈에 좋은 스트레스로 작용해 뼈의 형성을 촉진하는 자극제가 되고 뼈의 소실 억제를 돕기 때문”이라고 했다.

키가 평균보다 큰 사람은 평균 이하인 사람에 비해 골다공증 발생위험이 5~6% 낮았다. 키가 큰 사람의 골다공증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아직 불분명하지만 대한골대사학회에서도 작은 체형을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으로 분류하고 있다.

적정 음주, 골다공증 예방 효과. 하지만 과음은 금물

주 2회 이상 음주를 즐기는 사람은 월 1회 미만 술자리를 갖는 사람에 비해 골다공증 발생위험이 35%가량 낮게 나온 것도 이번 연구에서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하지만 연구팀은 “음주의 골다공증 예방 효과에 대해선 상반된 연구결과가 있으며 과도한 음주는 골절 위험성을 크게 높인다”며 절주를 권장했다.

연령도 변수, 50대 여성 대비 60대는 2.9배, 70대는 7.3배

연구팀은 나이를 먹을수록 골다공증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70대 남성의 골다공증 발생 위험은 50대 남성의 1.8배에 달했다. 50대 여성에 비해 60대 여성의 골다공증 발생 위험은 2.9배, 70대 여성은 7.3배였다.

또한 골다공증을 가진 50대 이상 남성의 92.4%, 여성의 62.2%가 자신이 골다공증 환자란 사실조차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 환자 가운데 현재 치료 중인 비율도 남성 5.7%, 여성 22.8%에 불과했다. 조 교수팀은 “한국인의 골다공증 인지율과 치료율은 우려할만한 수준미며 남성의 경우 더욱 심각하다”며 “여성은 폐경 전후로 골다공증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되지만 남성에겐 이런 계기가 마땅히 없는 탓”이라고 했다.

골다공증은 뼈의 양ㆍ질ㆍ강도가 줄어들어 골절이 일어나기 쉬운 상태를 가리킨다. 골절을 일으키기 전엔 뚜렷한 증상이 없어 별명이 ‘조용한 도둑’이다. 국내 50대 이상 여성의 골다공증은 허리뼈(28.3%)와 넙다리뼈(20.6%)를 중심으로 나타났고 남성 골다공증도 허리뼈(5.5%)와 넙다리뼈(2.7%)에 집중됐다. 이번 연구 논문(골다공증 유병률, 인지율, 치료율 및 영향요인의 성별 비교: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은 ‘대한간호학회지’ 최근호에 발표됐다.

    김용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