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병 땐 치명상… 뇌졸중, 담배부터 끊어라

 

기온이 내려가거나 일교차가 크면 생기는 것으로 알려진 뇌졸중은 여름에도 많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뇌졸중은 사계절 내내 조심해야 한다. 뇌졸중을 포함한 뇌혈관질환은 암 다음으로 높은 사망원인이다. 이중 뇌졸중은 단일 질환으로는 가장 큰 사망원인이다. 무엇보다 발병하면 큰 후유증을 남기거나 쉽게 재발하기 때문에 더욱 위험하다.

뇌졸중 발생, 계절과 무관

뇌졸중이 계절적 변화나 기상상황과 관계없이 발생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천대 길병원 신경외과 유찬종 교수가 뇌출혈의 일종인 자발적지주막하출혈로 병원에 입원한 60세 이상 환자 14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환자가 입원할 당시 인천 지역의 기온, 기압, 습도, 일교차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72세로 남성은 33명, 여성은 113명이었다.

분석 결과 자발적지주막하출혈 환자 숫자는 계절성과 무관했다. 입원 환자 숫자와 기온, 기압, 습도, 일교차 등 기상변수 사이에 유의한 통계적 연관성이 없었다.

계절별 발병 인원을 살펴보면 봄(3~5월)은 37명, 여름(6~8월)은 36명, 가을(9~11월)은 34명, 겨울(12~2월)은 39명이었다. 계절에 관계없이 환자 발생 숫자가 큰 차이가 없었다.

자발적지주막하출혈은 뇌 표면 2개층 가운데 안에 있는 연막(밖은 지주막) 사이의 지주막하강에 출혈이 생긴 질환을 말한다. 약 80%가 뇌동맥류파열에 의해 발생하며 증세는 없지만, 갑자기 두통과 구토를 일으키고 혼수상태에 빠진다. 2시간부터 늦어도 1∼2주 사이에 회복되지 않으면 생명이 위태롭다. 재발률이 50%에 달한다.

유 교수는 “뇌에는 무수한 혈관들이 존재하고 이 중 작은 혈관과 달리 비교적 큰 혈관들은 계절이나 기온상황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뇌에 있는 비교적 큰 혈관들은 결국 고혈압, 당뇨, 음주, 흡연 같은 위험요인에 영향을 더 받는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뇌졸중의 원인, 뇌출혈과 뇌경색

뇌졸중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뇌혈관이 터져서 생기는 뇌출혈과 뇌혈관이 막혀서 혈액공급이 이뤄지지 않는 뇌경색이 있다.

뇌졸중은 뇌혈관 부위에 따라 증상이 매우 다양하다. 왼쪽 뇌에 손상이 오면 언어 장애와 오른쪽 마비가 발생하고, 오른쪽 뇌에 발생하면 왼쪽에 마비가 생긴다.

소뇌에 생기면 어지럽고 균형 잡기가 힘들며 걸으면 발병 방향으로 자꾸 쓰러진다. 뇌간에 생기면 뇌신경 일부가 마비되고 혼수상태에 빠지거나 심한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

유 교수는 “뇌졸중은 얼마나 빠르게 정확한 치료를 했느냐가 중요하다”며 “뇌혈관 장애로 뇌세포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병 후 2~3시간 내에 병원에 도착한다면 후유증을 최대한 줄여 회복을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뇌졸중 예방 “당장 금연하세요”

뇌졸중은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다.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같은 만성질환과 심장질환이 있다. 또 음주 흡연, 비만, 선천적 뇌혈관 이상, 혈액응고 이상 등이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위험인자를 잘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위험인자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면 뇌졸중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환자 스스로 할 수 있는 가장 큰 예방법은 금연이다. 통상 담배는 뇌졸중 발생률을 2~3배 높인다. 니코틴과 일산화탄소가 산소의 양을 감소시키며 혈관을 수축시키기 때문이다. 흡연량이 많을 수 록 위험률은 높아진다. 다만 금연을 1년 하면 뇌졸중 위험도는 50% 감소하고 5년 내에는 비흡연자와 비슷해진다.

음주 역시 뇌졸중의 주요 위험요인이다. 소량의 음주는 건강이 득이 되지만, 하루 2잔 이상이 넘어가면 위험하다. 주종과 상관없이 매일 7잔 이상을 마시면 뇌졸중 위험은 3배 높아진다. 음주는 부정맥과 심근수축 이상을 유발하고, 뇌동맥 혈관을 손상시킨다.

유찬종 교수는 “뇌졸중 예방을 위해서는 과체중을 조절하고, 1주일에 3회 30분씩 꾸준히 규칙적으로 운동을 해야 한다. 식단은 싱겁고 담백하게 스트레스는 그 때 그 때 해소해야 한다”면서 “중년기에 들어서면 정기적인 진찰을 통해 만성질환을 조기치료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