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울 때 목도리…‘온맵시’ 돋보인다

목 감싸면 체온 조절 효과로 혈관 수축 막아

한동안 수그러들었던 추위가 다시 찾아왔다. 겨울에 유행하는 ‘온(溫)맵시’라는

말은 미니스커트나 얇은 옷을 입어 옷맵시를 살리기보다 내복을 입어 보온성을 높이고

에너지도 절약하자는 의미로 쓰인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진행한 온맵시 복장 효과

실험 결과 피부온도는 실내온도 22도에서 내복을 입지 않는 때와 실내온도 19.6도에서

내복을 입는 때가 같았다.

내복 못지않게 간단히 온맵시를 낼 수 있는 아이템은 목도리다. 겨울철 목도리는

소재별, 디자인별, 두르는 방식에 따라 보온성이 약간씩 다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목도리나 스카프를 사용하면 3∼5도까지 보온효과를 높일 수 있다. 우리 몸의 열은

80% 정도가 머리와 귀, 목 부위를 통해 빠져나간다. 특히 목은 뇌로 올라가는 굵은

혈관들이 지나가는 자리이기 때문에 더욱 관리가 필요하다. 추운 날씨 탓에 목에

있는 혈관이 수축되면 뇌 혈액 공급이 제대로 안 돼 뇌졸중(뇌중풍) 같은 치명적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는 “아주 추울 때 밖에 나가면 머리가 시린

현상이 생겨 머리를 따뜻하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며 “그러나 뇌 부위는

자율 조절 능력이 상대적으로 좋지만 목은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져 목도리를 이용하면

급격한 혈관 수축을 막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목도리 관리, 어떻게 하세요?

목도리는 세탁을 소홀히 하기 쉽다. 그러나 목도리에 있는 각종 세균, 감기·독감바이러스

등이 숨을 쉴 때 그대로 호흡기로 들어와 알레르기, 감기, 천식 등을 유발할 수 있어

더욱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집먼지 진드기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물질이다.

습하고 따뜻한 곳이나 먼지가 많은 목도리, 옷, 이불, 소파 등에서 잘 번식하고 사람

피부에서 떨어진 비듬 등을 먹고 산다.

만약 지난해 사용하고 옷장·상자에 보관했던 목도리를 올해 사용하다가

목에 좁쌀 같은 두드러기가 생겼다면 목도리에 잠복한 집먼지 진드기가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의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는 집먼지 진드기에 양성 반응을 보인다. 흔히

겨울철에 재채기, 콧물, 코막힘 증세가 나타나면 감기를 의심하지만 집먼지 진드기로

인한 알레르기성 비염이 원인일 수도 있다.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최동철 교수는 “사람의 비듬을 먹고 사는 집먼지 진드기는

알레르기 비염이나 기관지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의 가장 대표적인 요인”이라며

“사람이 좋아하는 환경조건과 비슷한 환경에서 더욱 왕성하게 늘어나기 때문에 특히

실내가 따뜻한 겨울철에는 알레르기 질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아주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알레르기성 비염과 감기의 차이

1. 감기

   콧물, 코막힘, 기침, 가래, 몸살, 두통, 열을 동반한다.

2. 알레르기성 비염

   맑은 콧물과 코막힘, 갑자기 발생하는 재채기, 열은 없지만

열이 나는 느낌 등의 증상

▲ 목도리 이렇게 관리하세요

1. 일주일에 한번 이상 삶거나 햇볕에 말려 집먼지 진드기를 없앤다. 특히 모피

소재는 드라이클리닝 후 보관한다.

2. 새로 구입한 목도리는 두 번 이상 세탁한다. 염색·가공 중 생긴 유해

화학성분 찌꺼기와 먼지·세균을 제거해야 한다.

3. 물세탁을 할 때는 여러 번 헹궈 세제가 남지 않도록 한다.  

▲ 목도리 어떤 것을 고를까?

1. 알파카나 캐시미어 제품

   가볍고 보온성이 우수하다. 관리에 소홀하면 세균 서식지가

될 수 있다.

2. 울(모)·모피 소재

   동물성 섬유라 가려움을 느낄 수밖에 없다.

3. 벨벳

   소재 특성상 정전기가 쉽게 생겨 먼지가 잘 털어지지 않는다.

4. 모직·나일론 소재

   땀 흡수가 잘 안되고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경우 합성섬유 소재는 피하고 면으로

된 것을 써야한다.

    안명휘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