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거숭이두더지쥐의 미스터리

아프리카 동북부의 땅속을 누비고 다니는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미스터리의 동물이다.

길이 8cm, 무게 35g에 불과한 이 설치류는 20~300마리가 집단을 이루어 살아간다.

몇 ㎞에 이르는 터널을 뚫어 휴식처와 화장실을 만들고 식량이 되는 식물뿌리를 찾아낸다.

놀라운 것은 포유동물이면서도 개미나 벌과 동일한 사회성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지배자인 여왕 한 마리가 번식을 도맡는다. 그 아래에 여왕의 교미 상대인 1~3마리의

수컷, 전사 계급, 일꾼 계급이 차례로 포진한다.

전사들은 굴에 침입하는 뱀과 싸운다. 이빨로 밀어내고 흙으로 굴을 막는다. 소속이

다른 개체들과도 싸운다. 두 군집이 파고 들어간 굴이 우연히 맞뚫리면 양측은 격렬한

전투를 벌인다. 일꾼들은 굴을 만들고 식량을 구하고 여왕과 새끼들을 돌본다. 이들의

사회성은 워낙 강해서 동물원에서 한 마리를 격리시켜 놓으면 죽고 만다. 미국 국립동물원의

데이비드 케슬러는 “집단 전체가 하나의 유기체와 같다”고 말한다. 포유류 중 이

같은 진(眞)사회성 동물은 다마라랜드두더지쥐를 포함해 2종뿐이다.

이들은 생리도 유별나다.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능력이 없는 변온동물이다.

땀샘이나 피하지방이 없는 점은 파충류와 동일하다. 피부는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염산이나 캡사이신(고추의 매운 성분)으로 문질러도 끄떡없다. 하지만 이들에게 의학적

관심이 집중되는 더 큰 이유가 있다. 첫째, 엄청나게 장수한다. 생쥐의 수명이 3년인데

비해 이들의 수명은 30년에 가깝다. 둘째 암이 없다. 전세계의 동물원에서 20년 넘게

사육했지만 암에 걸린 개체는 한 마리도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은

산소를 특별히 많이 포획하는 능력이 있다.

마침 한·중·미 합동 연구팀이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유전자 2만2561개를

모두 해독했다고 한다. 게놈 지도가 만들어진 것이다. 일차적 연구결과는 네이처

최근호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인간 및 생쥐의 게놈과 비교한 결과 장수, 암 저항능력,

저산소 환경 적응능력과 관련된 일부 유전자 변이를 확인했다고 한다. 연구를 주도한

‘베이징게놈연구소(BGI)’는 게놈 지도를 온라인으로 무료 개방할 예정이다. 세계

도처의 생의학자, 유전학자들이 집중적인 연구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암을 원천

봉쇄하고 수명을 10배로 늘리는 유전자를 발견하는 날을 향해서….

    조현욱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