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즐기는 등산객, 차라리 쉬세요”

과음 이어지기 쉽고 피로-부상위험 높아

봄이 다가오자 산을 찾는 상춘객이 늘고 있다. 상큼한 봄바람으로 폐부를 가득

채우며 산 정상에 오르면 온갖 시름과 번뇌를 잊는다. 등산은 하체 허리 심폐기능을

강화하고 성인병을 예방하며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

많은 등산 애호가들은 산행의 흥을 돋우기 위해 막걸리를 꼭 챙긴다. 주말이면

산을 찾는 최병태(45)씨는 “정상주나 하산주로는 허기를 달래주는 달착지근한 막걸리가

딱이다”며 “산 아래 경치를 내려다보며 막걸리를 들이키면 더욱 힘이 솟는다”고

주장했다.

정상에 오른 후 마시는 막걸리 한두 잔은 성취감을 높이고 기분을 상쾌하게 한다.

하지만 막걸리는 알코올 도수가 낮고 등산 중 허기를 달래기 때문에 석 잔, 넉 잔

계속 들이키다 보면 과음으로 이어지기 쉽다.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영양건강관리센터 이금주 팀장은 “등산을 하며 막걸리를

많이 마시면 부상위험이 높아지고 체내에 피로물질이 더 쌓이게 된다”며 “막걸리는

그저 술일 뿐이고, 산행 중 음주는 차라리 집에서 쉬는 것만 못하다”고 말했다.

음주 6분 만에 부상위험 높아진다

막걸리의 알코올 성분은 마시기 시작한 지 단 6분 만에 뇌에 도달해 인체에 영향을

준다. 독일 하이델베르그 대학병원 아민 빌러 교수는 “마신 뒤 6분만 지나면 뇌에서

알코올 농도가 증가한다”며 “뇌세포를 보호하는 크레아틴 농도가 감소하고 세포막을

형성하는 콜린이 줄어든다”고 밝혔다.

경희의료원 의대병원 소화기내과 심재준 교수는 “과음을 하면 운동중추를 담당하는

소뇌의 기능이 떨어지며 근육조절이 마음대로 되지 않는 운동실조가 일어난다”며

“술을 계속 마시면 걸음걸이가 휘청거리고 시야가 좁아지며 판단능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음주는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게 하는 전두엽의 기능을 억제해 평소 하지 않던

행동이나 말이 나오게 한다. 기억력을 관장하는 해마의 작용을 방해해 말이 꼬이거나

필름이 끊어지는 현상을 일으킨다.

막걸리를 공복에 술을 마실 경우 알코올 분해효소가 작용하기 전에 흡수가 일어나

혈중 알코올 농도가 빠르게 상승한다. 위 점막에 지속적인 자극을 가해 위출혈이나

위염의 원인이 되고 위궤양이나 부정맥 환자는 증세가 더 악화된다.

또 구토를 하다 토사물에 기도가 막히고 설사나 무호흡증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알코올의 이뇨작용으로 많은 양의 수분이 소변으로 배출돼 탈수현상이 생기기도 한다.

심장박동을 빠르게 해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혈압이 낮아져 위기에 대처하는

방어능력이 떨어진다.

산행 중 더욱 막걸리를 피해야 할 이유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지난해 119구조대가 산악사고로 출동한 건수는 7,105건으로

넘어져 다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난해 산에서 구조된 인원은 총 7,605명으로

집계돼 하루 평균 약 20명이 등산을 즐기다 사고를 당한다. 주로 산에서 내려오다

다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하산 시에는 신체의 무게 중심이 높고 허공에 떠있는 시간이 많아 신체가 불균형

상태가 돼 넘어질 위험이 높다. 발목과 무릎에 전해지는 부담이 자신의 체중의 3배에

달하고 배낭무게까지 합하면 무릎에 상당한 부담이 전달된다. 산 정상에 오른 후

막걸리를 즐기는 경우가 많아서 하산길 사고위험이 더욱 커진다. 산속에서 부상을

당하면 응급치료가 늦어져 상태가 더 악화된다.

산행 중 막걸리를 마시면 피로도가 더욱 높아진다. 이금주 팀장은 “쌀이

주성분인 막걸리를 마시면 탄수화물을 소화하면서 생성된 젖산이 체내에 쌓이며 근육을

긴장시키고 피로를 불러온다”며 “산행 피로에 막걸리 피로를 더해 간에도 부담을

주게 된다”고 밝혔다.

▶등산 중 사고위험을 줄이는 안전수칙

△산행은 아침 일찍 시작해 해 지기 1~2시간 전에 마친다.

△하루 8시간 이내 산행하고, 체력의 30%는 아껴둔다.  

△일행 중 가장 약한 사람을 중심으로 산행한다.  

△30㎏ 이상의 짐을 지지 않는다. 술은 가져가지 않는다.

△배낭에는 랜턴 우의 상비약품을 준비하고, 손에는 물건을 들지 않는다.

△방수방풍 기능을 갖춘 등산의류를 입는다.

△산행 중에는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지 말고 조금씩 자주 먹는다.  

△등산화 바닥 전체로 지면을 밟고 발 디딜 곳을 잘 살펴 안전하게 걷는다.

△보폭을 너무 넓게 하지 말고 항상 일정한 속도로 걷는다.  

△처음 몇 차례는 15~20분 걸은 후 5분간 휴식하고, 차츰 30분 정도 걷고 5~10분간

쉰다. 적응이 되면 1시간 정도 걷다가 10분씩 규칙적으로 휴식한다.

△내려갈 때는 자세를 낮추고 발아래를 잘 살펴 안전하게 디딘다.

(도움말 : 소방방재청 재해경감과)

    최승식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